고질적인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반영한 새로운 임금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생산성본부의 신형균 박사는 8일 한국경제신문사 다산홀에서 열린 '생산성협약임금제 설명회'에서 "국내 상장기업 중 60% 이상이 고비용 저효율의 고질병에 걸려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율을 임금 결정에 반영하는 '생산성 협약임금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생산성협약임금제는 노사가 임금인상의 수준과 방법에 대해 중기협약을 맺고, 임금인상은 고정임금과 변동임금으로 나눠 결정하되, 전체적으로 생산성증가율을 반영하는 제도다. 예를 들어 향후 3년 간 연평균 예측 생산성 증가율이 10%인 경우 3년 동안 고정 임금인상은 8%로 미리 결정하고 해마다 기업 성과를 반영, 전체임금 증가율을 평균 10%에 맞춘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좋을 경우 임금 증가율이 생산성 증가율보다 낮고, 실적이 예상보다 나쁠 경우에는 임금 증가율이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아 평균적으로 노사 양측이 위험을 공유하게 된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