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상향식 공천이 논란을 낳고 있다. 이번 총선을 앞두고 우리당이 본격 도입한 완전개방형 국민참여경선에서 참신성과 지명도를 갖춘 정치신인들이 오랫동안 밑바닥에서 표밭을 다져온 `토착후보'들에밀려 줄줄이 탈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7일 대전 서구을 경선에서는 참여정부의 검찰개혁을 주도한 박범계 전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구논회 후보에 패배한데 이어 영입케이스인 최창환 전 이데일리대표와 이평수 수석부대변인도 각각 서울 은평을과 경기 부천원미갑 경선에서 나란히 토착후보에 압도적 표차로 주저앉았다. 앞서 경제칼럼니스트인 김방희 전 MBC 라디오 진행자는 서울 서대문을에서, 박정 부대변인과 권오갑 전 과기부 차관은 각각 경기 파주와 고양덕양을에서 낙선했다. 경선을 통과한 영입인사로는 서울 마포갑에 출마한 노웅래 전 MBC 기자가 있지만 노승환 전 국회부의장의 아들이란 점에서 `조직'과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물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지난 8일 김성호(金成鎬) 의원으로부터 시작된 경쟁력 있는 젊은 후보들의 낙선 사태는 예고된 것과 다름없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정치권 물갈이를 갈망하는 유권자들의 표심이 스스로가 만든 `정치 무관심'이란현실의 벽에 부딪히면서 과거 조직선거의 경향이 오히려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역구내 인지도 제고와 경험 축적 차원에서 투입한 정치신인들이 잇따라 고배를 들자 우리당은 젊은층의 경선 참여 독려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이번 총선이 정당 보다 인물 선거 양상을 띨 것이란 점에서 당내 일각에선경선 자체를 전면 재검토해야한다는 `경선 무용론'도 제기하고 있다. 총선기획단 관계자는 29일 "젊은층이 경선에 불참하면 지역과 연줄을 중시하는중장년층의 조직적 투표행위가 위력을 발할 수밖에 없다"며 "무엇보다 전략지대로삼은 수도권과 충청권 등 인물난이 심한 곳에서 토착후보의 강세가 두드러져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