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교단의 갈등을 불러일으켰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운영방식이 마침내 타결됐다. NEIS 27개 영역 중 인사,회계 등 24개 영역은 지금처럼 통합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인권침해 논란이 일던 △교무·학사 △보건 △전·입학 등 3개 영역은 학교별 별도 서버를 구축,이를 시·도 교육청별로 한 곳에 모아 국가공공기관 또는 민간대행업체에서 관리하는 방식(인터넷데이터센터 방식·IDC)으로 결정됐다. 국무총리실 산하 교육정보화위원회(위원장 이세중변호사)는 15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NEIS 운영방안을 확정했다. 고건 국무총리는 16일 이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정보화위원회는 그동안 NEIS 입력대상 27개 영역 중 교무·학사,보건,진·입학 등 3개 영역은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합의한 뒤 3개 영역 서버를 △시·도 교육청에 두고 통합시스템으로 운영하는 방안 △교육청에 서버를 두되 학교별 독립 서버로 나눠 운영하는 방안 △학교별로 독립 서버를 운영하는 방안 등 세가지 방안을 검토해왔다. 이번에 합의된 방안은 두번째 방안으로 학교별로 독립된 서버를 운영하자는 전교조측 주장과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외부에서 서버를 통합 관리하자는 교육부측 주장의 절충안 성격을 띠고 있다. 학교별 서버 구축 및 관리 방식보다는 예산이 적게 들고 정보담당 교사들도 서버관리를 외부에 위탁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크게 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교육부는 이 방식이 소요예산이 많이들고 서버관리 공간 확보,관리인력 증원 등이 필요하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초기 구축비용이 3천3백4억원(리눅스 운영체제 채택시),매년 유지보수비와 인건비 등 4백54억원이 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당초 27개 영역을 모두 NEIS로 처리할 경우 예상된 초기구축비용 5백21억원,연간 운영비 2백94억원보다 훨씬 많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