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 사태를 계기로 은행, 카드사, 캐피털사 등이 신용도가 낮은 금융소비자에 대한 현금서비스 및 소액대출 한도를 잇따라 줄이고 있다. 금융사 입장에선 '잠재적 신용불량자'의 자사 회원유입과 이에 따른 연체 증가를 막기 위한 예방조치인 셈이다. 하지만 '동시 다발적인' 한도 축소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 은행, 캐피털도 한도축소 =국민은행은 내달 초부터 잠재 신용불량 고객들의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한도를 대폭 줄이거나 아예 '0원'으로 만들기로 했다. 한도축소 대상자는 국민은행 비씨카드 사업본부와 국민카드의 중복회원 1백만명 중 △현금서비스를 4곳 이상에서 받거나 △연체가 한달 이상 지속되거나 상습연체 경력이 있고 △신용등급(BSS)이 일정수준 이하로 낮은 다중채무자들이다. 은행측은 한도축소 대상이 30만∼5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카드도 최근 다중채무자와 장기 휴면회원 등 6만3천명을 상대로 카드사용한도를 최소 '0원'까지로 낮췄다. 할부금융사(캐피털)들도 대출한도 축소에 나서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LG카드 현금서비스가 중지됐던 지난 22일부터 연체회원 1만명과 장기휴면회원의 대출한도를 축소했다. 회사 관계자는 "월말에 카드사 현금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 돌려막기 이용자들의 대출수요가 폭증할 것에 대비, 한도축소를 미리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 신용경색에 따른 '부메랑 효과' 우려 =금융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현금서비스 한도를 줄임에 따라 그동안 여러장의 카드로 '돌려막기'를 해온 저신용자들은 갑작스런 신용경색에 빠질 수밖에 없게 됐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4장 이상의 신용카드를 소지한 회원수는 9백88만명으로 집계됐다. 업계관계자는 "이들 가운데 최소 30만∼50만명 정도는 한도축소에 따라 신용불량자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처럼 갑작스런 신용경색으로 신용불량자가 늘어나면 이는 다시 카드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부메랑'으로 되돌아 올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최철규ㆍ김동욱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