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4 10:24
수정2006.04.04 10:25
경부고속철도 중간역 신설계획에서제외된 경기도 평택과 고양시 주민들이 대규모 항의집회를 준비하는 등 집단반발하고 있다.
평택시는 17일 "국책항인 평택항은 서해안시대의 물류거점도시로 경기남부권의중심도시인데 고속철 역사가 들어서지 않는다면 폭증하는 교통수요 해결이 어렵다"며 "경기도와 협의, 추가 유치에 전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市) 관계자는 "건설교통부에 수차례 건의해 제반사정을 설명했는 데 중간역에서 제외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평택을 포함, 경기남부권 400만 도민의 교통불편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시의회 이익재(59)의장은 "중간역이 계획된 충북 오성과 경북 김천.구미의 경우평택에 비해 교통수요량이 훨씬 적다"며 "평택역 제외는 분명한 수도권 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
평택시민단체협의회 현상돈(54)회장은 "평택역이 추가로 유치되지 않을 경우 미군기지이전 등 모든 정부정책에 반대하는 시민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평택시의회는 18일 긴급회의를 갖고 의회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했으며,시민단체협의회도 조만간 대규모 항의집회를 열기로 했다.
경부고속철 강매차량기지창의 간이승강장 대신 인접한 행신역에 정식역사(출발역)를 설치해 줄것을 요구했던 고양시 고속철도역사 유치추진위원회도 집단행동에나선다는 방침이다.
고양시의회 정윤섭(48.행신2동)의원은 "간이승강장 설치는 지난 1999년 고양시인구가 30만명일때 결정된 사항"이라며 "고양.파주.김포시와 서울 강서구 등 수도권서북부지역 주민 수백만명의 이용 편의를 위해 출발역을 설치하거나 최소 하루 10회이상으로 운행 횟수를 대폭 늘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철도청은 지난해 11월 강매차량기지내에 간이승강장을 설치했으며 하루 4회 고속철을 운행할 예정이다.
건교부는 지난 14일 충북 오송과 경북 김천.구미, 울산 등 3곳에 경부고속철 중간역을 추가로 건설키로 했으나 평택의 경우 용산 미군기지 이전과 국제평화도시개발계획이 확정된 후 설치문제를 재검토하기로 했으며, 고양은 (간이)승강시설이 이미 설치돼 필요에 따라 승차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중간역에서 제외했다.
(평택.고양=연합뉴스) 김정섭.최찬흥 기자 ch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