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들어 처음으로 이뤄진 제7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비교적 차분한 가운데 내실있게 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선 남북간의 상봉으로는 처음으로 남측 방문단에 동행가족 10명이 포함돼 사실상 상봉 이산가족이 110명으로 늘어난 것은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다. 고령이거나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도와줄 가족을 동반시켜야 한다며 남측이 북측에 강력히 요구해 얻어낸 결과이다. 이번 상봉에 100세 이상 고령자 3명이 포함됨으로써 이산가족 문제의 절박성과 시급성이 널리 알려진 것도 의미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처럼 비교적 많은 고령자가 포함될 수 있었던 것은 당초 북측이 보내온 생사주소확인 결과가 방문단 100명을 채울 수 없을 정도로 부실해 이번 상봉 후보자가 아닌 이미 가족의 생사가 확인된 이산가족중 고령자를 중심으로 뽑은 결과라는 점에서 북측의 보다 성의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번 상봉기간중 남측 단장으로 방북한 서영훈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북측의 장재언 조선적십자회 위원장과 만나 추석을 즈음해 400∼500명 규모의 대규모 이상가족 상봉을 제의,그 결과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또 상봉기간 북측 이산가족의 정치적 선전이 과거보다 줄어든 것도 눈에 띄는 변화라는 설명이다. 한적 관계자는 "최고지도자에 대한 은덕을 지나치게 강조하던 과거와는 달리 이산가족들이 이번에는 취재진이 몰려들지 않으면 정치선전을 거의하지 않았다"며 "몇차례 행사를 통해 북측도 유연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같은 변화와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쉬움을 남게 하는 과제도 여전히 남아있다. 우선 납북자, 국군포로 등 이른바 특수이산가족들의 상봉이 보다 폭넓게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납북피해자인 이강삼(76), 강경순(75) 할머니가 상봉단에 포함돼 납북 아들과납북 남편의 소식을 들었지만 정부와 한적이 생사주소 확인을 의뢰한 국군포로 5명에 대해 북한은 '확인불가'를 통보했다. 남북 양측이 제4차 적십자회담에서 6.25전쟁 당시 행방 불명자들의 생사 주소확인 문제를 협의해결하기로 한 만큼 양측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 이벤트성의 일회적 상봉이 아닌 정례화된 제도적 만남을 이루기 위해 면회소설치가 시급함에도 그 규모를 둘러싼 남북간 이견으로 진전이 없는점도 아쉬운 부분이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