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3 14:10
수정2006.04.03 14:12
"재일동포는 일본인도 한국인도 아닌 재일아시아인으로 자신의 존재를 재정립할 때 미래가 있다"
동북아평화연대(이사장 이광규)가 15일 오후 7시30분부터 서울 여전도회관 8층회의실에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동아시아총합(總合)연구소 강영지 소장은 '동북아시대, 재일동포의 미래'라는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포럼에서 강 소장은 "재일동포의 소멸을 막고 민족적으로 인간답게 살며,일본지역 주민으로서 완전한 시민권을 확보해 일본 사람과 공생할 수 있게 하는 운동에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가리지 말고 나서야한다"며, "어떤 단체도 그 방향으로 나가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재일동포로부터 버림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소장은 또 "일본은 앞으로 재일동포 뿐만 아니라 늘어나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량으로 수용하고, 그들 이민자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ㆍ존중하는 '다민족 공생사회'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며 "일본 사회에서 민족 동질성을 유지하면서 살아온재일동포가 '다민족 공생사회' 건설의 조절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소장은 "재일동포는 일본의 폐쇄적이며 차별적인 풍토 때문에 압박당하면서도 비교적 최근에 한국에서 건너온 뉴커머와 재일 아시아인에 대해 우월감과 차별감을 갖고 있는데, 이것 역시 왜곡된 민족주의의 산물"이라고 덧붙였다.
재일동포 사회의 최대 단체인 민단과 총련에 대해 강 소장은 "전후 재일동포의권익옹호, 민족차별 철폐 등에서 일부 이바지한 점이 인정되지만 재일동포 사회의새로운 발전 차원에서 보면 오히려 브레이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양조직은본국 정부 추종과 의존관계에서 벗어나 재일동포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요구와 이익을 도모해야 미래가 있다"고 말했다.
강 소장은 "해방 이후 재일외국인 중 재일동포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지만2000년 그 비중은 38%로 떨어져 앞으로 10년 이내에 재일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재일'이라는 것은 재일중국인을 가리키는 말이 될 것이므로 이제 재일동포의 민족주의는 재평가, 재확립해야 할 때가왔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ghw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