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코너] 역할 커지는 中언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초 중국 베이징시장으로 선임된 멍쉐눙(孟學農·53). MBA 출신의 50대 행정관료인 그가 최근 언론 감독론(?)을 폈다.
'신문 방송과 사회여론의 감독을 겸허히 받아들이라'는 것이 골자.그는 '정부 업무의 공개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멍 시장은 '좋은 약은 입에 쓰다(良藥苦口)'는 속담까지 내세우며 '언론의 비판적 의견과 건의를 적극 수용하라'고 강조했다.
언론은 '통제되는 여론 창구'이고,'정책의 나팔수'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을 법한 시 간부들에게 시장의 발언은 생소하게 들렸을 것이다.
멍 시장의 '언론 감독론'은 중국 새 정부의 정치개혁과도 맥이 닿아 있다.
원자바오 신임 총리는 최근 가진 첫 기자회견에서 "정치개혁은 당·정의 변함없는 목표"라고 전제하고 "정부가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의회)뿐만 아니라 대중과 여론의 감독을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지도부는 '공직자들이 국민들로부터 지속적이고 면밀한 감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민주주의의 전제조건을 갈파하고 있는 듯하다.
사실 일부 신문사를 정간시킬 만큼 언론에 강경 입장을 보여온 장쩌민(江澤民) 국가 군사위 주석도 언론 덕택(?)에 행정을 개선한 경험이 있다.
장 주석과 주룽지 전 총리가 상하이 당서기와 시장을 맡고 있던 88년 3월,경제일보는 '상하이 바오산에 합작기업을 세우려는 외국인 관리자들이 사업승인을 받기 위해 19개 정부부처와 14개 정부위원회에서 1백26건의 허가를 받으려고 15개월이나 돌아다녔다'고 보도했다.
장 주석은 즉시 회의를 소집했고,주 전 총리에 의해 합작사업을 두달 만에 승인해주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 제안은 곧바로 실시돼 생겨난 게 '원스톱 외국인 투자센터'다.
이처럼 중국은 언론을 행정의 감시자로 활용하려는 기색이 뚜렷하다.
그러나 한국의 새 정부는,기자실 폐지와 일부 부처의 취재제한 등을 내놓고 있다.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에서 언론의 폐해가 중국보다 심할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정부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의 순기능은 중국뿐 아니라 한국에도 존재한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