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케이크 소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제품과 1만 원 이하 제품이 판매되면서 가격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호텔의 케이크들은 식자재비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가격이 지난해보다 더 상승했다.
가격이 개당에 30만원에 달하는데도 호텔들은 ‘스몰 럭셔리’(작은 사치) 트렌드 확산으로 ‘완판’(완전 판매)을 자신하고 있다.
신라호텔은 프랑스 디저트 와인 샤토디켐을 사용한 ‘더 테이스트 오브 럭셔리 케이크’를 한정 판매한다. 고급 식자재인 블랙 트러플이 40g 들어가 판매 가격이 30만원에 달한다.
그랜드인터컨티넨탈파르나스호텔은 작년에 판매한 ‘메리고라운드 케이크’(사진) 가격을 올해 25만원으로 책정했다. 작년 판매가격(20만원)보다 25% 올랐다.
조선호텔앤리조트가 운영하는 웨스틴 조선 서울은 28만원짜리 트리 모양 케이크 '브라이트 화이트 트리'를 포함한 4종의 한정판 케이크를 내놨다.
롯데호텔앤리조트 산하 시그니엘과 롯데호텔 서울·월드 등을 호텔이 선보인 케이크 중 가장 비싼 케이크는 시그니엘 서울의 '크리스마스 오너먼트 박스'로 21만원이다.
반면, 신세계푸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만원 이하 크리스마스 케이크를 판매한다.
신세계푸드는 고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를 위해 지난해와 같이 9천980원짜리 캐릭터 케이크를 출시한다.
지난해 12월 신세계푸드가 출시한 9천980원짜리 케이크는 출시 3주 만에 1만5천개가 판매된 바 있다. 이는 전년 동기의 케이크 판매량과 비교해 30% 증가한 수치다.
이 밖에 신세계푸드는 '꽃카와 함께 부쉬드노엘', 'X-MAS 딸기 케이크', 'X-MAS 치즈케이크' 등을 선보였는데, 모두 가격은 2만원 미
국적 해운사인 HMM의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가운데 또 다른 인수 후보인 동원그룹이 입찰 절차의 공정성을 문제 삼고 나섰다. 1조6800억원에 달하는 HMM 영구채의 주식 전환을 3년간 유예해 달라는 하림 측 요청을 산업은행 등 매각 측이 받아들이면 동원그룹은 불공정 매각 절차로 간주하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지난 8일 동원그룹은 이런 내용을 담은 공식 입장문을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에 전달했다. 동원은 입장문에서 “매각 측이 영구채 주식 전환을 확정해 HMM의 잠재적 발행 주식 총수를 10억 주로 산정하고 인수가를 제시하라고 고지했다”며 “하림 측의 (영구채 주식 전환 3년 유예) 요구를 받아들이는 건 형평성에 위배된다”고 밝혔다. 이어 “매각 측이 입찰 절차의 공정성을 지키지 않고 우선협상자 선정 등에 나서면 가처분 소송 등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했다.
산은과 해진공은 지난달 본입찰 때 인수 희망가 외에 ‘주주 간 계약서’ 초안에 대한 인수 후보의 수정 제안을 함께 제출받았다. 초안엔 매각 후 3년간 배당을 연 5000억원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매각 측은 잔여 영구채 처리 방안에 대한 의견도 수정 제안에 넣어 달라고 했다.
이에 하림은 ‘영구채를 향후 3년간 주식으로 전환하지 말아 달라’는 내용으로 수정 제안을 했다. 해진공이 이에 반대하면서 우선협상자 선정이 지연돼 왔다.
매각 측이 수정 제안을 받아들이면 하림의 HMM 지분율은 57.9%가 유지돼 3년간 매년 2895억원까지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영구채가 예정대로 주식으로 전환되면 인수 측 지분율은 38.9%로 희석돼 연간 배당
군 초급간부 급여가 2027년까지 중견기업 수준으로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가 10일 발표한 '2023∼2027년 군인복지기본계획'에 따르면 2027년 일반부대 하사와 소위의 연봉은 올해 대비 14∼15%, 전방 경계부대의 하사와 소위 연봉은 같은 기간 28∼30% 오른다.
일반부대 하사(이하 1호봉 기준)의 총소득(기본급+수당+당직근무비) 기준 연봉은 올해 3천296만원에서 2027년 3천761만원으로 14% 오르고, 일반부대 소위는 3천393만원에서 3천910만원으로 15% 오른다.
최전방 감시소초(GP)와 일반전초(GOP), 해·강안, 함정, 방공 등 경계부대는 일반부대에 비해 인상률이 2배다. 경계부대에 근무하는 인원은 전체 초급간부의 약 20%다.
경계부대에 근무하는 하사의 연봉은 올해 3천817만원에서 2027년 4천904만원으로 28% 오르고, 경계부대 근무 소위의 연봉은 같은 기간 3천856만원에서 4천990만원으로 30% 오른다.
단기복무 장교와 부사관에게 일시로 지급하는 장려금은 내년부터 2배가 된다.
단기복무 장교 장려금은 지난해 600만원에서 내년 1천200만원으로, 단기복무 부사관은 지난해 500만원에서 내년 1천만원으로 안상된다.
국방부는 또한 조종사와 사이버전문인력, 군의관 등 전문자격을 보유한 간부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급여를 다른 공공기관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초급간부는 중견기업 수준에 준하는 보수를 지급해 직업군인의 임무수행에 대한 합당한 보상은 물론 군의 핵심전력 유출을 방지해 전투력 유지의 기반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