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그룹 중심돼 전방위 유치전…사업 협력기회·공급망 확대 성과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가 불발됨에 따라 그동안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온 재계는 아쉬움이 큰 분위기다.
비록 부산엑스포 유치는 불발됐지만, 유치 활동 과정에서 새로운 글로벌 시장을 발굴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는 등 소정의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12대 주요 그룹은 지난해 6월 민간유치위원회 출범 이후 18개월 동안 총 175개국의 정상과 장관 등 고위급 인사 3천여명을 만나 엑스포 유치 활동을 해왔다.
이들을 만나기 위해 개최한 회의만 총 1천645회로, 이중 절반에는 주요 기업 총수나 최고경영자(CEO)급이 직접 참여했다.
특히 삼성과 SK, 현대차, LG, 롯데 등 주요 5대 그룹이 전체 교섭 활동의 89.6%를 차지했다.
각 그룹은 국제박람회기구(BIE) 182개 회원국을 비즈니스 연관성 등을 기준으로 나눠 맡아 밀착 마크했다.
여기에는 그동안 한국과 교류가 많지 않았던 나라들도 포함됐다.
삼성은 네팔과 라오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등을, SK는 아프가니스탄과 아르메니아, 리투아니아, 몰타 등을 맡았고, 현대차는 페루, 칠레, 바하마, 그리스 등을, LG는 케냐와 소말리아, 르완다 등을 각각 담당했다.
롯데는 일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을 대상으로 유치전을 펼쳤다.
공동유치위원장을 맡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겸 SK그룹 회장과 SK그룹 CEO들이 직접 방문했거나 국내외에서 면담한 나라만 180여개로, 그동안 가진 각국 정상과 BIE 대사 등 고위급 인사와의 개별 면담 횟수는 약 1천100회에 달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삼성 사장단, 지역 총괄장·법인
유치활동 과정서 많은 나라와 협력 '망외소득' 얻어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가 불발됐으나 정부와 부산시, 국회, 대기업 등 민관이 '코리아 원팀'으로 적극적인 교섭 활동을 편 덕에 부산의 브랜드 가치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29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지옌(Z/Yen)사가 지난 5월 발표한 글로벌 스마트센터 지수(SCI)에서 부산시는 세계 77개 주요 도시 가운데 19위를 차지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홍콩에 이어 3위, 국내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SCI는 디지털 중심 스마트 도시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수로, 138개 관련 지표를 바탕으로 순위를 매겨 매년 2차례 발표된다.
부산시는 최근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이 세계 1천211개 여행도시 가운데 소비자 투표와 심사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뽑은 '2023 인기 급부상 여행지상'에 오스트리아 비엔나와 함께 상위 2개 도시(톱2)에 선정되기도 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2023년 숨이 막히도록 멋진 여행지와 체험장소 25'에 도시 단위로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부산을 꼽았다.
부산은 또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3년 국내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2016년부터 7년 연속 1위를 기록한 제주를 제치고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한국관광공사의 2022년 야간관광 실태조사에서는 부산이 야간관광 경험, 희망, 만족도 부문에서 최고점을 획득했다.
부산시의 자매·우호도시도 37개에서 49개로 늘었고, 대상지역이 동유럽과 아프리카로 확대되는 등 글로벌 허브 도시 외교의 지평이 한층 넓어졌다.
이런 성과는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구 6바퀴에 해당하는 23만8천500여㎞를 이동하며 23개국에서 엑스포 유치 활동을 벌인 것
부산형 급행철도 건설, 북항 재개발, 미군 55보급창 이전 논의도 영향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가 불발됨에 따라 엑스포 개최와 맞물려 추진해온 가덕도 신공항 조기 개항 등 부산 현안 사업에 차질이 우려된다.
정부는 2030년 부산엑스포 개최를 위해 가덕도 신공항을 2029년 12월에 조기 개항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이 사업을 전담하는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설립 법안도 지난 10월 국회를 통과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말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의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육지와 해상에 걸쳐 총면적 666만9천㎡(에어사이드 시설 319만9천㎡, 랜드사이드 시설 220만9천㎡, 공항 지원시설 126만1천㎡)의 규모에 24시간 운영되는 국제공항으로 건설하는 것이 기본계획의 골자다.
그러나 2030년 엑스포 개최가 무산됐기 때문에 정부가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애초 사전타당성 조사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공사 기간이 9년 8개월로 추산돼 2035년 6월 개항 계획이 제시됐다.
가덕도 신공항 개항 시기가 늦춰지면 이와 연계해 가덕도 눌차만, 천성항 일대를 주거, 상업, 물류 시설을 갖춘 복합도시로 개발하고, 인근 옛 화전체육공원 예정지까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려는 부산시 계획도 늦춰질 수 있다.
가덕도 신공항과 엑스포 개최 예정지인 부산항 북항 등 도심을 잇는 부산형 급행철도(BuTX) 건설 사업도 속도 조절에 들어갈 공산이 크다.
민간 투자 사업으로 추진하는 BuTX는 수소 전동차가 지하 40m 이상 대심도 터널을 초고속으로 운행해 가덕도 신공항에서 북항까지 18분, 동부산에 있는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 33분 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