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3 11:16
수정2006.04.03 11:18
특별취재반 = 대구지하철 방화참사와 관련, 대구지방경찰청은 20일 지하철 기관사와 종합사령실 관계자들에 대한 과실과 직무유기 여부를 집중 조사중이다.
경찰은 조사 결과 위법 사실이 확인하는대로 이들을 모두 사법 처리할 방침이다.
또 이날부터 사고가 난 대구지하철 중앙로역에 대한 정리.복구 작업은 물론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시신에 대한 신원확인이 본격 시작된다.
희생자의 넋을 기리기 위해 19일부터 23일까지 시민애도기간으로 선포된 가운데 희생자들의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대구시민회관 별관 2층에는 시민들의 분향이 이어지고, 대구지하철사고대책본부에는 희생자 가족과 부상자들을 위한 성금이 잇따라 전달되고 있다.
▲경찰수사 대구지방경찰청은 안전수칙 등을 무시한 채 화재가 발생한 대구지하철 중앙로역승강장으로 전동차를 몰고 들어간 뒤 제대로 조치를 하지 않아 많은 사상자를 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1080호 전동차 기관사 최모(39)씨를 19일 오후 다시 소환, 당시경위와 조치상황을 정밀 조사하고 있다.
최씨는 화재가 발생한 중앙로역에 정차한 뒤 객차의 문을 제때 열지 않는 등 제대로 조치를 취하지 않아 승객들이 대피를 못해 인명피해를 키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1079호 전동차에서 불이 났는데도 맞은편을 운행중인 1080호 기관사에 '주의운전'만 통보하고 사고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은 지하철공사 관계자들에 대해서도 조사중이다.
▲시신 감식 및 사고역 복구 경찰은 지난 19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관계자들과 월배차량기지로 옮긴 두 사고전동차에 있는 시신에 대해 1차로 육안 감식을 한데 이어 20일에는 사체 70여구를대구시립의료원에 임시로 안치, 감식에 본격 나선다.
경찰과 경북대법의학팀은 유전자 감식과 안면복원술 등 법의학 기법을 총동원해 신원을 확인 할 예정이지만 일부 사체는 훼손정도가 워낙 심해 신원 확인에는 최소한 1달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하철사고대책본부는 사고가 일어난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실종자 수색이 끝남에 따라 이날부터 군인 등을 동원해 현장 정리 작업에 들어갔다.
이와 함께 교수 등 전문가들로 구성한 안전진단팀의 진단을 거쳐 복구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희생자 첫 장례 및 애도 물결 대구지하철 방화사건의 희생자의 장례식이 이날 처음으로 치러진다.
사고대책본부는 파티마.가야기독.효심.보광병원 등 4곳에서 희생자 4명의 장례식이 치러졌다.
또 희생자들이 안치돼 있는 병원과 합동분향소가 차려진 대구시민회관, 수습하지 못한 시신이 있는 월배차량기지 주변에서는 유족들과 실종자 가족의 오열이 밤새도록 이어졌다.
이와 함께 전국 곳곳에서 희생자와 그 유가족,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한 추모물결과 모금운동이 벌이지고 있다.
참사가 일어난 지하철 중앙로역 입구에는 시민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르기 위해 받친 하얀 국화꽃이 수백송이나 쌓여 있다.
또 사고대책본부에는 포스코에서 5억원, 손학규 경기지사가 1억원을 전달하는등 각계에서 성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
한편 사고대책본부는 현재 사망자는 53명, 부상자는 146명(퇴원 12명)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불에 탄 두 전동차에 72구의 사체가 더 있을 것으로 보여 사망자는 125명정도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금까지 신고된 실종자 수는 385명에 이른다.
(대구=연합뉴스) leek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