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경제 금융개혁에 달렸다" .. 이코노미스트誌 지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시아 지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 구조조정과 부실여신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2월7일자)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5년 전의 금융위기를 극복했지만 여전히 2조억 달러에 달하는 부실채권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또 "중국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며 "중국의 금융시장이 조만간 제 기능을 찾지 못하면 세계 경제에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되살아나는 부실채권의 망령=아시아 국가들은 대출시장 비중이 주식과 채권 시장보다 크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만의 경우 대출시장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2백60%에 달해 주식시장(1백10%)과 채권시장(45%)보다 월등하다.
그만큼 금융시장 구조가 취약하다는 얘기다.
상당한 규모의 무수익여신(NPL),즉 부실채권도 문제다.
미 회계법인인 언스트&영에 따르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총 NPL은 8천억달러에 이르며 일본을 포함하면 2조억달러로 추산된다.
이것도 국가마다 회계규정이 각각 달라 최소한도로 집계된 것으로 부실채권의 심각성은 훨씬 더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 지적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NPL은 자금 분배가 왜곡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낮은 금리와 채무지연에 힘입어 하루하루 연명하는 유령 회사들이 존재하는 이상 완전한 경제회복은 요원하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위험한 자본시장(Casino capital)=지난 1990년만 해도 시장 자체가 없었던 중국 증시는 현재 시가총액이 5천억달러에 달해 아시아에선 일본에 이어 두번째 크기로 성장했다.
그러나 주가 조작과 내부자 정보를 이용한 부정 거래에 대한 단속이 사실상 없을 뿐 아니라 상장 회사들의 불투명한 자금거래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중국 증시가 3년이내 개방된다 해도 외국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게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게다가 섣부른 증시 개방은 주가폭락에 따른 정치적 소요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대인 기자 bigm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