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추진중인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와 관련해 비정규직 규모및 임금수준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한국경영자총협회와 노동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정규직 규모에 대해 노동계는 56%를 넘는다고 주장하는 반면 재계는 27.3%라고 맞서고 있다. 경총은 이날 '동일노동 동일임금 관련 의견'을 통해 "선진국 분류기준으로 노동부에서 조사한 결과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은 지난 2001년에 27.3%로 나타나 노동계가 주장하는 비율의 절반선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경총은 노동계가 제시하는 비정규직 56%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임시직과 일용직 비중(52%)에 상용직의 일부를 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의 91%가 임시일용직으로 분류되고 있어 임시·일용직과 비정규직을 동일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통계청의 공식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경총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이 96만원으로 정규직의 52%에 불과하다는 노동계 주장에 대해서도 '비정규직 규모 56%'를 바탕으로 한 잘못된 수치라고 말했다. 경총은 노동연구원의 '사업패널조사'를 인용해 "정규직에 대한 대비 비정규직의 생산성은 약 75%이며 임금수준도 이 비율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총은 특히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동일임금을 받아야 한다는 노동계 주장에 대해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정규직에서도 같은 직무를 수행하더라도 근속년수 학력 연령 등에 따라 임금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경총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직무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직무급 임금체계가 먼저 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희식 기자 hssoh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