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시설 재가동 선언으로 북한 신포지역에 건설중인 경수로 사업도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미국은 지난 10월 북한이 핵 개발을 시인한 이후 제네바합의가 실질적으로 파기된 것으로 간주해 왔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경수로 건설사업 중단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과 미국 일본 EU(유럽연합)는 지난달 14일 열린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집행이사회에서 이달분 대북 중유 지원 중단을 결정하는 한편 '북한과의 여타 KEDO 활동도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북한이 핵시설을 재가동 할 경우 경수로 공사도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북한 경수로 사업은 공사 진척도가 25% 정도로 당초 목표시한인 2003년 말보다 5년 늦은 2008년에 완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수로 건설사업은 KEDO의 주계약자인 한국전력이 맡고 있으며 원자로 건설은 두산중공업, 원자로 설계는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KOPEC)가 담당하고 있다. 또 경수로 핵심부분에 해당하는 터빈과 제너레이터 제작은 일본의 도시바 히타치, 시공은 현대건설 대우건설 동아건설 두산중공업 등 4개사에 하청된 상태다. 현재 북한 신포지역에 체류중인 남한 경수로 공사 인력은 7백여명에 이른다. 따라서 경수로 사업이 중단될 경우 북 체류 인력의 국내 복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한 유.무형의 경제적인 손실이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북한 경수로 건설의 전체 사업비는 46억달러로 지난달까지 10억달러가 투입됐으며 공사가 중단될 경우 우리측에서 그간 부담한 돈 7억달러(8천4백억원)의 회수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전체 경수로 사업비의 70%인 32억2천만달러를 부담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그간 국채발행을 통해 공사비를 조달해 왔다"며 "발전소 완공 후 북측이 17년동안 상환키로 돼있는 비용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 고스란히 국가의 재정부담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