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강남구가 개포 시영아파트에 이어 대치동 은마아파트에 대해 사실상 `재건축 불가' 판정을 내린 가운데 시내에서 지은지 20년 넘은 아파트의 절반 가량이 재건축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시내 아파트 1만1천570동 가운데 지은 지21년 이상된 아파트는 26.0%인 3천16동으로 집계됐다. 사용기간별로는 21∼25년 1천702동(14.7%), 26∼30년 1천135동(9.8%), 31년 이상 179동(1.5%) 등이며, 이 가운데 40년 이상된 아파트도 1곳(용산구 한남동 한남아파트)이 있다. 그러나 이들 아파트 가운데 재건축을 신청한 곳은 49.4%인 1천489동으로, 26∼30년 아파트 중에서는 71.0%인 806동, 21∼25년 아파트는 40.0%인 680동, 31년 이상은 1.7%인 3곳이 각각 재건축을 신청했다. 특히 지은 지 20년 이하 아파트 8천554곳 중에서도 3.0%인 259동이 재건축을 신청했으며, 이 가운데 11∼15년된 아파트도 40동에 달했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재건축 여부를 사용 연수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현재기준대로 20년 이상 경과했다고 해서 재건축을 신청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남구는 최근 재건축안전진단심의위원회를 열어 개포 시영아파트(84년 준공. 1천970가구)에 이어 은마아파트(79년 준공. 4천424가구)에 대해 사실상 `재건축불가' 판정을 내렸으며, 시는 재건축 허용 연한을 현재 20년 이상에서 최장 40년 이상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