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아비' 8명 신명나는 춤판 .. 내달 6,7일 서울 호암아트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춤판에서 남자춤꾼들의 모습을 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한국전통무용은 현대무용이나 발레에 비해 '남무부재 현상'이 더욱 심각하다.
이런 상황에서 오직 춤에 한 평생을 걸어온 8명의 남성춤꾼들이 모처럼 한데 모여 신명나는 놀이판을 벌인다.
오는 9월6일, 7일 이틀간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펼쳐지는 '남무, 춤추는 처용아비들'이 화제의 공연이다.
무대에 오르는 8명의 춤꾼중 셋은 이미 80대의 고령으로 이번이 마지막 무대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리만 만들어지면 어디에서든 어깨를 들썩이며 일품 춤사위를 뽑아내는 '끼'와 '열정' 만큼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춤판의 막을 열 문장원옹(87)은 중요무형문화제 제18호 동래야유(들놀음) 기능보유자로 우리 전통춤의 산역사다.
'허튼 춤'이나 '입춤'으로 불리는 그의 춤은 특정한 구성없이 즉흥적으로 이뤄지는 점이 특징이다.
장단을 앞지르거나 뒤서는 엇동작을 통해 자칫 정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춤에 속도감을 불어넣고 관객들의 추임새를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황재기옹(81)은 호남 우도농악의 진수로 꼽히는 고깔소고춤의 진짜 맴시를 보여준다.
팔을 벌려 벼르다가 빠르게 회전하며 한발을 들어 소고를 치는 '앉을상' 등 고난도 춤사위가 일품이다.
경남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 예능보유자인 김덕명옹(80)은 고고한 학의 자태를 빼어나게 형상화한 양산학춤을 선사한다.
훨훨 날다가 내려앉아 두루두루 살피고 먹이를 휙 낚아채는 학의 모습을 선비의 차림으로 유장하게 표현해 낸다.
이 시대 최고의 상쇠로 꼽히는 정인삼 용인민속촌 농악단장(61)은 진쇠(꽹과리)춤을 선보인다.
진쇠춤은 관아의 원님복장으로 부정놀이, 엇모리, 엇굿거리, 자진굿거리로 이어지는 다양한 장단을 밟는 것이다.
이윤석 고성오광대보존회장(54)은 오광대 놀이에 나오는 춤사위들을 즉흥적으로 엮어낸 덧배기춤을, 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기능보유자인 하용부씨(47)는 큰 북의 엇박장단에 맞춰 엇걸음으로 추는 밀양북춤을 각각 공연한다.
어린 시절부터 마지막 유랑공연단체인 호남여성농악단의 막내로 풍류길을 나섰던 김운태씨(41)는 채상소고춤을 보여준다.
스무살이 넘은 늦깎이로 춤에 입문해 대학에서 민속무용을 가르치고 있는 박영수씨(40)는 봉산탈춤중 가장 활달한 목중춤으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이번 공연의 연출을 맡은 진옥섭씨는 "요즘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춤들만 조명을 받고 탈춤 농악춤 사랑방춤 놀음청춤 등 우리 전래의 많은 춤들은 차츰 잊혀져 가고 있다"며 "평생을 춤과 함께 해온 여덟명의 춤꾼들을 통해 우리 춤이 가진 진정한 멋과 아름다움이 재조명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02)766-5210
김재창 기자 char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