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채권단의 '빚 잔치'가 복잡하게 꼬여가고 있다. 채권단 내부의 이해관계 조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에 불거진 공익채권 우선변제 논란도 그 일환이다. 이밖에 워크아웃 지원자금의 손실분담을 둘러싼 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KAMCO)의 입장차이 GM대우에 대한 20억달러 지원문제 등도 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때문에 일각에선 대우자동차의 정리계획안 확정이 당초보다 늦어져 신설법인 출범이 연기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 공익채권 문제 대우차 채권단은 법정관리에 들어간 이후 7천3백억원 정도를 지원했다. 이 가운데 상환이 안된 6천5백억원 정도는 정리계획안 작성시 공익채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 금액은 채권단이 우선변제 받아야 한다는게 산은의 입장이다. 그러나 KAMCO측 입장은 다르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익채권보다 정리담보권을 우선변제할 수도 있다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산은 입장에 반대의견을 내놓고 있다. 즉 KAMCO가 이미 담보권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산업은행 등이 법정관리 이후 자금을 지원했으므로 정리담보권이 우선한다는 것이다. ◆ 손실분담협약 산업은행은 워크아웃 당시 대우차에 자금을 지원하면서 손실분담 확약서를 받아놓았다. 워크아웃 자금이 손실이 날 경우 자금지원에 참여하지 않은 투신사 종금사 관계사 등은 청산 등에 따른 향후 배당을 포기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이 금액은 대략 1조7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로부터 채권을 사들인 KAMCO의 입장은 다르다. 정책적으로 채권을 떠넘기고 손실까지 분담하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협약서에 명기돼 있는 손실분담의 조건과 현재 대우차 매각의 방식은 다르기 때문에 권리를 포기하거나 손실을 추가부담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 신설법인 지분참여 및 신규지원 오는 9월 출범할 예정인 신설법인 'GM대우 오토 앤드 테크놀로지'의 지분출자 비율문제도 쟁점이다. GM과 대우차 채권단은 신설법인에 각각 4억달러(67%), 1억9천7백만달러(33%)의 현금을 출자키로 합의한 상태. 문제는 채권회사들이 갹출키로 한 1억9천7백만달러다. 누가 얼마나 내야 할지를 놓고 채권은행들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신설법인이 운영자금으로 쓸 20억달러의 신규대출 문제도 '넘어야 할 산'이다. 지난 4월말 GM측과 본계약을 맺을 당시 채권단은 12억5천만달러를 시중금리로, 7억5천만달러를 고정금리(6%)로 신설법인에 대출해 주기로 했다. 이중 고정금리 6% 대출에 대해 채권회사들이 선뜻 동의할지 불확실한 상태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신설법인 지분비율과 신규지원문제를 묶어 해결한다는 방침이지만 조흥 우리 등 타 채권은행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 우선주 분배문제 신설법인은 대우차의 기존 자산중 군산.창원공장, 부평 AS센터 등을 선별인수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대가로 12억달러어치의 신설법인 우선주를 배당률 3.5%에 15년만기 상환조건으로 지급키로 했다. 채권단이 대우차에 대출해준 뒤 못받은 돈은 약 17조원이다. 신설법인 인수대상에서 제외된 공장 등 자산을 처분하더라도 향후 유입될 매각대금은 미미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채권회사들은 우선주라도 가급적 많이 확보하기 위해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특히 채권은행마다 대우차 여신성격이 달라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내는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빚잔치 과정에서 마찰음이 터져 나오자 일각에서는 대우차 매각 자체가 좌초할 가능성까지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채권회사들의 손실이 커지므로 조만간 정부의 개입에 의해서라도 매듭이 풀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용준.조재길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