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군의 차기 전투기로 F-15K가 선정된 이후국방부와 미 보잉이 진행중인 추가협상의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고위관계자는 13일 "보잉은 F-15K의 최종 제시가인 44억6천700만달러에서 상당액을 인하하겠다는 뜻을 전해왔으나 우리의 인하 목표액에 못미쳐 추가인하를 요구한 것으로 안다"며 "보잉측이 추가인하에도 긍정적인 의사를 내비치고 있어 추가협상이 금명간 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보잉은 추가협상에서 약 1억7천만달러 인하안을 제시한 반면, 국방부는 프랑스다소의 라팔 가격인 42억6천800만달러보다 낮은 2억달러 인하를 목표로 잡고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사업이 6개월 지연되기 이전인 지난해 보잉의 제시가는 42억4천700만 달러였다. 이 고위관계자는 "가격인하외에 미 보잉은 절충교역에서도 상당히 의미있는 추가안을 제시했고, 후속 군수지원에 대해서도 미 정부 차원에서 보장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지난 4월19일 차기 전투기로 F-15K가 선정될 당시 최종 제시가(44억6천700만달러) 대비 65%(28억9천300만달러)에 그쳤던 절충교역 비율이 의무비율 70%를 충족시키는데서 더 나아가 어느 정도 상회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협상이 원만하게 타결될 경우 국방부는 이달말이나 6월초 대통령의 집행승인을 받아 6월말까지 미 보잉과 본계약을 체결한다는 일정을 잡아 놓고 있다. 이에 앞서 김동신 국방장관은 지난달 30일 보잉의 제리 다니엘스 군용기.미사일시스템 부문 사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가격인하, 절충교역 비율 상향조정, 후속 군수지원 보장 등 3가지 현안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뒤 "보잉은 추가협상에서 한국민이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격을 최대한 낮춰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사업추진이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 ly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