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9월 17일 = 발전회사 노사 단체협상 개시 ▲2002년 2월 9일 = 노조측, 교섭결렬을 이유로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 ▲2월 24일 = 노조 집행부 명동성당 농성 돌입 ▲2월 25일 = 중노위에서 최종 조정안 제시, 노조측 거부 파업 돌입 ▲2월 26일 = 노사 7차례 교섭에서 대부분의 단협사항에 합의했으나 민영화 문제로 정회 ▲2월 28일 = 4차례 추가 노사협상 실시했으나 민영화 문제로 난항 ▲3월 4일 = 회사측, 징계심의 및 경력직사원 채용공고 노조측, 투쟁결의 성명서 발표 경찰 구속영장 집행 시도, 성당측 요청으로 유보 ▲3월 8일 = 중노위 중재재정 ▲3월 9일 = 회사측, 노조 핵심간부 109명 대상 1차 가압류 신청 ▲3월10일 = 명동성당 천막에서 노사협상 실시 ▲3월12일 = 회사측, 징계위원회 개최해 49명 해임결정 ▲3월13일 = 한국수력원자력 적색비상 발령 ▲3월15일 = 회사측, 미복귀 직원 전원 대상 2차 가압류 신청 ▲3월18일 = 한국수력원자력 파업찬반투표 시작 ▲3월19일 = 회사측, 2차 징계위원회 개최해 147명 해임 결정 한국수력원자력 투표율 저조로 파업찬반투표 중단 ▲3월 20일 = 노조 집행부 단식농성 돌입 ▲3월 21일 = 발전회사 사장단 기자회견에서 25일까지 복귀명령 불이행자 전원해임 통보 방침 발표 ▲3월 24일 = 노.정 밤샘 협상 결렬. ▲3월 25일 = 연세대 번개 집회에 공권력 투입 ▲3월 26일 = 민주노총 4월 2일 2차 총파업 결의 ▲3월 27일 = 민주노총 정부측에 조건없는 대화 제의 ▲3월 29일 = 발전회사 노조원 144명 추가 해임 결정 ▲3월 30일 = 노.정 협상, 정부 노조측에 `민영화 교섭대상 아니다' 수용 요구 ▲4월 1일 = 노.정 협상 재개, 밤샘 협상 ▲4월 2일 = 노.정 협상 극적 타결, 합의문 발표.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