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해외의 테러조직이나 특정 국가들이 미국에 대해사이버 테러공격을 가해올 경우 군사적으로 보복할 수도 있다고 리처드 클라크 백악관 사이버안보 담당 특별보좌관이 13일 말했다. 클라크 보좌관은 이날 상원 법사위의 대 사이버테러 청문회에 출석, "우리는 은밀한 작전이나 군사행동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대응할 권리를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클라크 보좌관은 이란과 이라크, 북한, 중국, 러시아및 기타 국가들이 이미 인터넷 전쟁 교육을 실시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으나 어느 정도의 사이버 공격을받을 경우 미국이 군사적 대응에 나설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클라크 보좌관은 이어 미국이 아직까지는 인터넷 전쟁을 시도중인 특정 외국 정부나 테러조직을 적발하지는 못했지만 이것이 사이버 공격이 시도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 뒤 사이버테러는 비용이 적게들고 쉽다는 이유로 피할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찰스 슈머 상원의원은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이메일등의 일시적인 손실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서 테러리스트들은 사이버공격을 통해 국가전력망과 항공통제시스템,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공익설비의 디지털 통제시스템에 접근할수 있다고 우려했다. 슈마허 의원은 작년 볼티모어 터널에서 발생한 열차사고로 주요 인터넷망이 끊겼던 사례를 들며 중요한 통신시설에 대해서는 경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악관 예산국은 올 회계연도중 컴퓨터및 네트워크 보안분야에 27억 달러의 예산을 사용할 예정이며 2003회계연도의 관련 예산은 42억달러로 증액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 AP=연합뉴스) yc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