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투자란'은 다양한 투자 자산에 대한 지식을 전해드리는 콘텐츠입니다. 유튜브 채널 에서 미리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국내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이 800개를 넘습니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특히 정말 많이 사랑하시는 게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이죠. 최근에 유가증권시장 상장 규정이 변경되면서 12월부터는 소수점 배율의 ETF가 출시될 수 있다, 이런 얘기가 있네요. 어떤 건지 설명 좀 해 주실까요?
▶박수민 신한자산운용 팀장
국내 레버리지 인버스 ETF를 보시면 2배거나 혹은 -1배거나, 이렇게 딱딱 떨어지는 배율만 있었어요. 그런데 지난 9월에 한국거래소에서 소수점 배율의 레버리지 인버스 ETF를 출시 가능하게 하겠다고 발표했고 12월 11일부터 시행이 됩니다. 현재 이렇게 변화하는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서 운용사 등 관련 업계 관계자분들이 상품 전략을 수립 중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이 바뀌는 건지 유가증권시장 상장 규정의 변경 내용을 한 번 보시면, 상장지수펀드증권 ETF는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이 기초 자산의 가격 또는 지수 변화에 연동하는 배율을 정수 배율, 2배를 넘을 수 없다고 규정이 되어 있는데, 2배는 여전히 변하지 않습니다. 다만 소수점 배율 상품 상장을 허용하겠다는 그런 내용의 변화이고요. 상장지수증권 ETN도 증권사에서 발행하는 상품으로서 많은 분들이 투자를 하고 계시는데, ETF와 달리 조금은 규정이 열려 있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ETN은 채무증권, 즉 채권에 한해서는 3배까지 그 배율을 높여준 부분도 있었고 0.5배 소수점 배율 상품 허용이 되어있었습니다만 금번 개정을 통해서 소수점 둘째 짜리까지의 배율도
공매도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을 ‘폭풍 매수’하고 있다. 한 달간 순매수 규모만 약 4조3000억원에 달한다. 외국인이 국내 주식시장을 떠날 것이란 증권사들의 전망은 완전히 빗나갔다. 내년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를 예상한 글로벌 자금이 대규모 유입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2차전지 팔고 반도체 올인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1일부터 30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한 달간 2조952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에선 1조139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 자금의 대규모 유입은 뜻밖이란 평가가 많다. 지난달 6일 금융당국이 공매도 거래를 전면 금지하자 국내 증권사들은 한국 시장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져 외국인 자금이 대규모 이탈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외국인의 ‘바이 코리아(Buy Korea)’ 움직임 배경엔 반도체가 있다. 외국인은 지난달 삼성전자 한 종목만 2조9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SK하이닉스(6792억원)까지 합치면 코스피 투자금의 91%를 반도체주에 쏟은 셈이다.
코스닥시장에서도 반도체 장비업체인 HPSP를 2445억원어치 사들였다. 이 기간 코스닥 전체 순매수 1위였다.
반면 포스코홀딩스(3700억원 순매도), 삼성SDI(3586억원) 포스코퓨처엠(3245억원), 에코프로비엠(954억원) 등 2차전지 관련주는 팔아치웠다. ○8만전자 넘어 9만전자도 가능세계 곳곳에서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 조짐이 나타나자 외국인이 서둘러 한국 주식 사재기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스마트폰과 PC 시장이 살아나면서 지난달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2021년 7월 이후 처음 상승세로 돌아섰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공매도 제도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에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는 분위기다. 국회 안팎에선 연내 개정안이 처리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당정이 추진하는 세부 규정 개선도 연내 완료는 어려워질 전망이다. 정무위, 오는 5일 법안소위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5일 법안 소위를 연다. 공매도 제도 개선 관련 자본시장법 개정안도 논의될 법안 중 하나로 명단에 올라 있다.
하지만 개정안이 이날 법안소위 문턱을 넘을지 여부는 상당히 불투명하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순위인 다른 법안이 많아서다. 한 국회 관계자는 "정무위는 금융안정계정을 신설하도록 하는 예금자보호법(예보법) 개정안을 우선 순위로 처리할 전망"이라며 "이후 유사수신행위 관련 법 개정안 등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안정계정은 금융 위기로 인해 정상적인 금융사가 자금난을 겪게 된 경우 위기가 다른 금융사나 기업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장치다.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과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금융안정계정을 신설하는 예금자보호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해 계류 중이다. 부실·자금난 확대 막는 법안 우선 처리국회 일각에선 이달 중 공매도 관련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정무위 법안 소위를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경기 둔화세에 국회가 부실기업 구조개선(기촉법)이나 자금난 안정(예보법) 관련 법안을 보다 우선해 보고 있어서다.
공매도 관련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지난달 28일 정무위 법안소위에서도 순서에 밀려 아예 논의에 오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징후 기업에 대한 기업 구조개선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