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은행권이 수신금리를 잇따라 올리고 있어 그 파장이 주목된다. 수신금리 인상이 전 금융권으로 확산되면 조만간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거의 1년여만에 시중금리가 상승기조로 돌아서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시중금리가 빠른 속도로 상승할 경우 경영기반이 취약한 대다수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커질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예대마진 축소로 은행경영도 타격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자칫 막대한 채권투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까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융권 스스로 금리안정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물론 은행금리가 자금수급 형편에 따라 등락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은행들이 자율적으로 판단할 사항이다. 씨티은행과 HSBC 등 외국계 은행외에 일부 시중은행들이 지점장 전결금리 폭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정기예금 금리를 올렸지만, 금리가 상승기조로 돌아섰다기 보다는 자금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성격이 강하며 은행마다 자금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속단하기는 아직 이른 감이 없지 않다. 그리고 현재 은행권 자금사정이 좋고 기업의 투자자금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에 장기수신금리 상승폭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금리인상 움직임이 은행권은 물론이고 상호신용금고 등 제2금융권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걱정되는 것은 사실이다. 은행권이 이번에 서둘러 수신금리를 인상한 것도 향후 경기회복에 따른 금리상승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 못지않게, 시중자금이 주식과 부동산으로 대거 이동할 경우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 때문에 고통을 겪을지 몰라 장기자금을 끌어모으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유력하다. 그동안 은행들이 단기예금을 주택담보대출 등 장기대출로 운용함에 따라 유동성 비율이 낮아진 탓이다. 그렇다면 기업의 원가부담을 낮추고 자금의 선순환을 이어가기 위해서도 은행권의 금리인상 움직임이 금융권 전체로 확산되지 않도록 관계당국이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지난해 9월말 현재 총유동성이 1천조원을 넘을 정도로 금융시장 규모가 커진 마당에 은행들은 과거처럼 금리 인상을 통해 구태의연한 수신경쟁을 벌일 것이 아니라 유망 중소기업 등 틈새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가계대출과 기업금융의 조화를 통해 자금운용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주력해야 마땅하다. 은행합병을 통해 대형 시중은행들을 탄생시키고 이들이 금리안정을 위해 앞장서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