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보험리베이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밑 보험업계에 뿌리 깊은 관행인 리베이트(특별이익 제공)행위를 뿌리 뽑자는 구호가 터져나오고 있다.
특히 당국의 강력한 근절방침으로 보험사는 리베이트와 전쟁을 벌이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이번 전쟁은 지난 8월 자동차보험 자유화조치 이후 불거졌다.
보험료 자유화는 보험사간 과당 경쟁으로 이어졌다.
일부 보험사는 계약이 많은 대형 대리점엔 법정 최대수수료(22%)보다 7∼8%포인트 많은 수수료를 지급하는 등 시장질서문란 행위가 갈수록 심해졌다.
보험가입자들도 여간 혼란스러운게 아니다.
'제값 내고 보험 들면 바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보험료를 흥정하는 케이스가 잇따랐다.
영업 담당자는 보험료를 깎아줘야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볼멘소리다.
이들은 일단 계약을 유치한 다음 보험사에 더 많은 수수료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보험사는 안으로 멍들게 된다.
당초 계획보다 영업비용을 더 쓰면 회사는 부실화되게 마련이다.
길게 보면 가입자로 그 손해가 되돌아 올 수 있다.
이처럼 리베이트관행은 보험사나 고객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다.
그래선지 보험사들은 리베이트를 없애겠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나섰다.
11개 손보사 사장들은 한자리에 모여 '모집질서 자정결의'까지 했다.
금융당국도 이번 기회에 업계에 만연한 리베이트 관행을 뿌리 뽑겠다며 서슬퍼런 칼을 들었다.
리베이트 지급사실이 드러나면 최고경영자 해임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문제는 리베이트 관행이 당국의 의지와 사장단 약속만으로 근절될 수 있느냐에 있다.
하루하루 피 마르는 실적관리를 해야 하는 영업맨들은 "이번에도 어려울 것"이라고 잘라 말한다. 보험사마다 파는 상품이 비슷한데 고객이 어떤 잣대로 선택하겠느냐고 반문한다.
잘못된 관행에 대한 공권력 행사에 앞서 보험시장에 상품과 서비스 차별화로 경쟁하는 안팎의 여건을 먼저 조성하는게 당국의 급선무란 지적도 그래서 나오고 있다.
그래야만 리베이트 관행을 없애는 동시에 한국 보험산업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익원 금융부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