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동자, 농민 등 민중 단체들의 대규모 도심집회에다 이익단체들의 각종 권익요구 시위가 되풀이 되고 있어 시민들의 피해가가중되고 있다. 지난달 검찰이 불법 집회.시위 엄단 방침을 발표했는데도 불구, 일부 단체들의집회.시위가 과격 양상으로 치닫는데다 내년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이익집단들의 집회가 쏟아져 나올 전망이어서 도심시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3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올들어 서울 도심에서의 집회.시위는 신고건수만 하루평균 100여건씩이며, 특히 인원이 대규모로 동원되는 시위와 집회는 갈수록 토.일요일 등 주말에 집중되고 있다. 시위대의 거리행진, 도로점거 및 경찰과의 충돌 등에 따른 교통혼잡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고, 집회와 시위가 진행되는 지역의 상인들은 매출감소 등 억울한피해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노총, 전농, 한총련 등 민중연대 소속 회원 2만여명은 2일 오후 종로, 을지로, 퇴계로, 대학로 등에서 거리행진을 갖고, 일부 과격시위대는 경찰과 충돌, 보도블록, 술병 등을 던지며 격렬시위를 벌여 오후 내내 도심 교통혼잡을 빚었다 이에 앞서 평일인 지난달 13일에는 전농 소속 농민 1만1천여명이 쌀값 보장 등을 요구하며 여의도에서 시위를 벌였으며 같은 달 10일 전국노동자대회에서도 1만여명이 도로를 점거, 서울 여의도와 마포구 일대가 극심한 교통혼잡을 빚었다. 전국민주택시노조 조합원 2천여명도 서울 종묘공원에서 거리행진을 벌였으며 교원정년 연장을 둘러싸고 한국교총과 전교조 등 교육, 시민단체들의 대규모 시위도빈발하고 있다. 과거처럼 시위현장에서 화염병은 등장하지 않고 있지만 고속도로 점거, 야적 시위, 계란투척 등 격렬한 몸싸움으로 시위양상도 시간이 갈수록 격렬해져 시위대와경찰 양측의 부상자도 속출하고 있다. 이같은 대규모 집회로 시민들의 직,간접적인 피해는 갈수록 늘고 있다. 특히 상가 밀집지역으로 집회장소로 애용되고 있는 대학로.종묘공원.탑골공원등에 사는 시민과 상인들의 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도로점거로 인한 교통혼잡비용손실은 집회 1건당 약 1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10월에는 상가단체가 집회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며 노동단체를상대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등 집회,시위가 이제는 법정공방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 동숭동 대학로에서 의류점을 운영하는 박인수(39)씨는 "주말마다 시위가끊이질 않아 대목날 매출이 오히려 급감하고 있다"며 "집회는 자신들의 의사표시인만큼 하더라도 한 장소에서만 짧게 했으며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단체들은 시민들과 상인들이 겪는 불편은 이해하지만 생존권 확보 차원에서 집회,시위를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힘없고 소외받는 계층이 의사표시를 하는 수단은 집회와 시위 뿐이어서 이를 멈출 수 없고 예정된 집회와 시위는 계속할 수 밖에 없다"며 "시민들과 상인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우리들의 처지도 이해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ynayu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