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진승현 게이트' 재수사를 계기로 고삐를 바짝 조이기 시작한 대여 강공을 19일에도 계속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신승남(愼承男) 검찰총장과 신 건(辛 建) 국정원장의 문책사퇴요구와 인사청문회법의 회기내 관철, 국정원.검찰의 인적쇄신과 정치활동관련 예산전액 삭감 추진 등 파상공세를 퍼부었다.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현 정부의 현대그룹 특혜 지원설을 제기하며 그 배경을 밝히라고 추궁했고, 장광근(張光根) 수석부대변인은 "민주당이 아직도 민심을 깨닫지 못하고 미몽속에 헤매고 있다"고 다그쳤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이러한 대여 공세가 자민련과의 연대를 통한 `수(數)의 정치'로 비쳐지고 있는데 대해서는 곤혹스런 반응을 보이면서 "법과 원칙을 세우기 위한조치일 뿐 수의 정치를 하려는 의도는 없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이 최근들어 공세를 자제해온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을 공격의 사정권으로 끌어들이고, 특검제와 국정조사 도입을 요구하며 여권에 십자포화를가하는 것은 복잡한 당내외 사정이 맞물린 결과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특히 `진승현, 정현준, 이용호 게이트' 등 3대 게이트의 원점 재수사를 촉구하며 검찰과 국정원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는 것은 향후 정국 주도권과 내년 양대선거를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타 대선주자들에 비해 우위를점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대선이 1년 이상이나 남아있어 `이회창 대세론'을 굳히기위해서는 대여 공세를 통해 정국 주도권을 계속 쥐고 있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선거를 앞두고 검찰과 국정원, 국세청 등 이른바 권력기관들의 기를꺾어놓아야 선거개입 등의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엇보다 총재직 사퇴를 다시 물고 늘어지는 등 김 대통령을 다시 정조준하는듯한 움직임은 정부.여당에 대한 공세를 계속해야만 영남지역의 `반DJ 정서'를 묶어둘 수 있다는 속셈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대대적인 대여 공세를 통해 박근혜(朴槿惠) 부총재의 대선출마설, 최병렬(崔秉烈) 부총재의 조건부 당총재직 이양론, 김덕룡(金德龍) 이부영(李富榮) 의원 등 당중진들의 잇단 `튀는 언동'을 진압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는시각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