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은행은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 개장을 축하하고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기념모자를 제작,10일 열리는 대표팀과 크로아티아 대표팀간의 개장기념 경기 입장객 6만5천명에게 배부한다.
한빛은행은 관계자는 "서울시 시금고은행으로서 서울월드컵경기장의 개장을 축하하는 의미"라며 "앞으로 홍보효과가 큰 스포츠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
홍콩 H지수(HSCEI) 주가연계증권(ELS) 발행량이 올해 급감한 반면 33년 만에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 규모는 늘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편입한 ELS는 4천23억원 규모로 발행돼 9월(5천137억원), 10월(4천654억원)에 이어 석 달 연속 감소세다.
ELS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 종목 가격 흐름이 사전에 정해놓은 조건을 충족했는지 여부에 따라 수익률을 결정하는 유가증권으로, 보통 홍콩 H지수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유로스톡스50, 코스피200 등이 지수형 ELS의 기초자산으로 많이 활용 중이다.
홍콩 H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50개로 산출하는 지수로, 중국 관련 리스크가 불거지면 급락하는 경향이다.
홍콩 H지수 연계 ELS 월별 발행 금액은 작년 10월 2천966억원에서 같은 해 11월 902억원, 12월 654억원으로 매달 30% 넘게 감소한 뒤 올해 4월까지 8천301억원까지 늘어났으나 다시 4천억원대로 떨어지며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반면 일본 도쿄 증시의 대표 지수인 닛케이 지수 연계 ELS는 작년 연말을 기점으로 홍콩 H지수 연계 ELS와 발행 금액이 역전되더니 지난달에는 홍콩 H지수 ELS의 3.5배에 달하는 1조3천952억원어치나 발행됐다.
홍콩 H지수 ELS 발행액이 가장 많았던 2021년 4월에는 홍콩 H지수 ELS가 닛케이 지수 ELS보다 발행량이 3.3배 많았지만, 약 3년 만에 두 ELS 발행 규모가 완전히 역전됐다.
특히 홍콩 H지수 ELS 발행 규모가 최저치로 떨어졌던 지난해 11월부터 두 기초자산 ELS 발행 규모 차이는 점점 벌어지는 상황.
닛케이 지수 ELS는 발행 규모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 차이가 지난 7개월 새 약 1.2%포인트에서 0.3%포인트까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는 주담대 금리를 내리도록 압박한 반면 인터넷은행에는 가계부채 관리를 이유로 금리를 올리도록 유도한 결과로 풀이된다.
3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가 지난 10월 새로 취급한 균등분할상환 방식 주담대 평균금리는 연 4.46%로 집계됐다. 이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을 통틀어 가장 낮은 수치다. 시중은행의 주담대 평균금리는 인터넷은행보다 높았지만 모두 연 4%대에 머물렀다. 농협은행(연 4.65%)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국민은행(연 4.71%)과 우리은행(연 4.72%), 신한은행(연 4.78%) 순이었다. 하나은행(연 4.79%) 주담대 평균금리가 가장 높았지만 같은 기간 가장 금리가 낮았던 케이뱅크와의 차이는 0.33%포인트에 불과했다.
인터넷은행과 시중은행의 주담대 평균금리는 올초까지만 해도 1% 넘게 차이 났다. 지난 3월엔 카카오뱅크의 평균금리가 연 4.04%로 가장 낮았는데, 당시 가장 평균금리가 높은 우리은행(연 5.23%)과의 차이는 1.19%포인트에 달했다.
주요 은행 사이의 주담대 평균금리 차이가 7개월 만에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금융당국의 시장 개입이 꼽힌다. 당국은 지난 1분기 시중은행의 이자수익이 과도하다며 가계대출 인하를 압박했다. 이로 인해 은행권이 모두 경쟁적으로 대출 금리를 떨어뜨렸다.
반면 인터넷은행의 주담대는 올리도록 유도했다. 금융위원회는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한 원인으로 인터넷은행의 비대면 주담대 영업을 공개 지목했다.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평균금리는 4월 연 3.85%에서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가운데)이 “손님, 직원, 사회공동체를 포함한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의 행복과 미래를 꿈꾸게 하는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을 겨냥한 비판 여론이 높은 가운데 사회와 함께 상생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함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명동 사옥에서 열린 그룹 출범 18주년 기념식에서 “그룹의 성장과 도전의 역사를 되새기고, 하나금융만의 성장동력에 기반한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함 회장 등 하나금융 임직원 300여 명이 참석한 이날 기념식 슬로건은 ‘새로운 하나, 모두의 행복과 미래를 꿈꾸다’였다. 하나금융에 지금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잠시 뒤돌아보고 ‘진심의 하나(손님가치)’와 ‘세상의 하나(사회가치)’를 실천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진심의 하나(고객가치)는 하나금융을 거래하는 고객을 넘어 모든 국민을 위해 진심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 세상의 하나(사회가치)는 함께 나누는 금융, 희망을 더하는 금융, 모두 함께하는 착한금융을 통해 사회 모든 구성원이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동반자가 되겠다는 다짐이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