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통일외교통상위는 6일 홍순영(洪淳瑛) 통일장관이 출석한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어 제6차 남북장관급회담과 남북관계법 개정 등을 놓고 논란을 벌였다. 민주당 장성민(張誠珉) 의원은 "이번 회담에서 홍 장관의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 면담이 추진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면담이 성사될 경우 김 위원장의 조속한 서울 답방과 국제 반테러연대 동참을 촉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 의원은 또 "야당이 정쟁적 필요에 의해 남북교류협력법과 남북협력기금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남북화해에 발목을 잡는 것일 뿐 아니라, 혹 야당이 정권교체를 이뤘을 때 스스로의 발목을 잡는 행위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성호(金成鎬) 의원은 "이번 장관급회담에선 반테러 공동선언을 공식의제로 다룸으로써 한반도 평화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지를 이끌어내야 한다"면서 "남북협력기금에 대해 국회 통제를 강화할 경우 남북협력 및 교류사업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 의원은 "남북회담을 통해 혜택을 받는 쪽이 누구인데, 언제까지 이런 무원칙하고 일방적인 저자세를 계속해야 하느냐"며 "이번회담에선 대한항공(KAL)기 폭파사건 등 북한의 과거 테러행위에 대해 사과를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용갑(金容甲) 의원은 "금강산 회담 결정은 임동원 (林東源) 대통령특보가 개입 내지는 주도한 것이라는 강한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면서 "내년 양대선거를 앞두고 김정일 답방을 성사시키기 위한 대북 퍼주기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남북협력기금의 증액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김덕룡(金德龍) 의원도 "남북협력기금 사용의 적합성과 정당성을 국민이 납득할수 없다면 국회 차원에서 기금운용에 적극 간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원웅(金元雄) 의원은 "남북관계 사업은 고도의 정치적 융통성이 필요한 사안일 뿐 아니라 사전 예측이 곤란한 만큼 기금운용계획을 사전에 제출, 국회승인을 받으라는 것은 무리"라며 "남북협력기금법 및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당론과 다른 입장을 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