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행 국내매각 선회..도이체방크와 협상결렬 해외매각 무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은행의 처리방향이 해외매각에서 국내 매각으로 선회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서울은행과 도이체방크캐피탈파트너스(DBCP)간의 매각 협상을 중단키로 결정했다.
박승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DBCP는 경영에 관심이 없고 단기적인 투자목적만 갖고 있는데다 풋백옵션(사후 손실보전)등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9월말인 협상시한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서울은행으로 하여금 해외매각 재추진을 포함, 보다 근본적인 경영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제출토록 했다.
그러나 금융계는 DBCP와의 협상결렬로 정부가 사실상 해외매각 카드를 포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여기에는 나름대로의 근거가 있다.
우선 세계경기 침체등으로 해외에서 원매자를 찾기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둘째 서울은행이 더이상 부실은행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지난 9월말 현재 BIS자기자본비율 10.8%, 고정이하 여신비율 3.9% 등 제반 경영지표가 우량은행 수준으로 회복됐다.
박승희 예금보험공사 이사는 "5조6천억원의 공적자금을 들여 클린뱅크로 만든 뒤 이를 해외매각이란 명분에 집착해 헐값으로 팔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서울은행의 처리방향으로는 시중은행과의 합병 또는 은행 자회사로의 매각이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론 은행법개정으로 내년부터 1인당 은행 지분소유한도가 4%에서 10%로 확대됨에 따라 산업자본 또는 금융전업 그룹에 매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하지만 서울은행이 다른 은행에 비해 뚜렷한 장점이 없는데다 국내기업의 인수여력 등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게 금융계의 관측이다.
반면 다른 은행과의 짝짓기와 관련해서는 이미 2~3개 시중은행들이 여러 경로를 통해 서울은행의 인수 또는 합병의사를 타진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감위 관계자도 "은행법 개정으로 은행의 다른 은행지분 소유가 허용된다"면서 "서울은행의 규모나 최근 경영실적 등을 미뤄볼때 국내 은행들의 매력적인 인수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계에서는 조흥 외환 하나 한미 기업은행 등이 서울은행과의 짝짓기 대상으로 거론되곤 한다.
하지만 정작 해당은행측에서는 서울은행과의 합병 또는 인수설이 불거질 때마다 "검토한 바 없다"며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서울은행의 향방은 빨라야 내년 이후에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장진모.유영석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