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을 독립적으로 수사하는 '특별수사 검찰청'을 검찰총장 산하에 신설하고 검찰 인사위원회에 외부인사를 참여시키는 등 검찰 신뢰회복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검찰은 또 공직자 등 사회지도층 비리를 성역없이 수사하는 등 사정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최근 노동계의 불법파업과 폭력시위에도 단호히 대처키로 했다. 법무부와 검찰은 28일 대검청사 15층 대회의실에서 최경원(崔慶元) 법무장관 주재로 전국검사장회의를 열고 국법질서 확립 및 검찰의 신뢰회복, 업무 효율화 등에관해 집중 논의했다. 최 장관은 훈시에서 자유민주체제의 수호 및 불법집단 행동에 대한 엄정 대처,국민 인권옹호와 신장, 부정부패 척결, 엄정.공평한 검찰권 행사 등을 당부했다. '특별수사 검찰청'은 지난 99년 추진됐던 '공직비리 수사처'의 연장선에서 검토된 기구로, 정치적 중립성 확보를 위해 정치인 사건이나 정치성을 띠는 대형 경제사건, 고위공직자 비리, 검찰 내부비리 등을 전담하게 된다. 이 기구는 인사와 예산이 대검에서 완전히 독립되며 청장과 차장에는 고검장급과 검사장급을 각각 배치, 임기 2년을 보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일선 검사 개개인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 검찰의 상명하복 규정에 `부당한 명령에 대한 항변권'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또 수사단계에서부터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을 보장하고 공무원의 직무범죄에 대한 재정신청을 대폭 확대하는 등 형사소송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대검에 `재항고부'를 신설, 고소.고발 사건에 대한 심리기능을 강화하는 한편형사사건의 충실한 처리를 위해 사건관계인의 검사대면 기회를 확대키로 했다. 지금까지 시험승진 방식으로 운영돼 오던 검찰일반직 5급 승진 제도에 심사승진방식을 병행하고, 조직 통폐합에 따른 잉여인력을 민원전담관이나 수사지원 인력으로 활용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 기자 fai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