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건회계법인이 금융감독위원회에 제출한 2000년 대우자동차 감사보고서의 핵심은 "계속기업으로의 존속능력에 중대한 의문이 제기된다"는 것이다.

안건은 현재 진행중이거나 추진중인 회사정리절차와 제3자 매각의 결과에 따라 회사의 향후 영업활동이 중대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존속 능력에 의문을 표시했다.

해외매각의 대안으로 독자회생이나 공기업화 등의 방안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대우자동차 결산실적과 안건회계법인의 지적을 들여다 보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작년 말 현재 대우차의 자산이 9조1천억원인데 비해 부채 총계는 22조3천억원에 달한다.

지금 있는 자산을 모두 팔아도 못갚는 부채가 13조원이 넘는다.

게다가 누적결손이 99년 말 4조4천억원에서 지난해 말에는 18조1천2백억원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특별손실 등을 대거 반영해 당기순손실이 13조7천60억원으로 늘어난 때문이나 뒤집어보면 그만큼 부실이 숨겨져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특수관계자 및 협력업체에 대한 지급보증에 따른 우발채무도 지난해의 두배에 가까운 1조6천억원대에 이른다.

물론 99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실사 차액을 반영했기 때문에 부채 및 손실이 늘어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영업손실 규모를 보면 대우자동차의 사업구조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이 드러난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모두 5천8백억원선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대우가 판 차가 모두 70만대 정도였음을 감안하면 대우는 차 한대 만들어 팔면 80만원 정도 손실이 나는 원가구조를 갖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부채구조도 문제다.

지난해 말 유동자산을 초과한 유동부채액은 16조7천억원에 달했다.

1년 사이에 12조원 이상이 증가한 것도 문제지만 단기부채가 전체 부채의 74%를 차지하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부채탕감 등의 획기적 개선책이 없는 한 재기가 불가능한 구조라는 얘기다.

또하나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해 1천1백억원으로 계상했던 영업권 을 전액 손실처리했다는 점이다.

그동안 대우자동차의 국내 시장 점유율 등을 근거로 제시한 기득권 가운데 상당부분은 이미 상실됐다고 본 것.

과거 자동차기술 개발에 들어간 7천5백억원 가운데 6천3백억원도 감액 손실처리했다.

미래가치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매년 엄청난 연구개발비가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우는 자동차 메이커로서의 존립조차 의문시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같은 감사결과는 현재 대우자동차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GM과의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재 채권단은 하반기부터는 신규자금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대우자동차의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우측은 이르면 5월부터 영업이익을 흑자로 돌리고 구조조정을 가속화함으로써 채권단의 지원없이 회사를 유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계획이 제대로 추진될 것을 가정해 작성한 회사측의 자금수급표에도 올해 부족한 현금만 7백34억원에 이른다.

또 채권단이 상반기중 6천5백86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으나 이의 실행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대우차의 부실은 시간이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