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융시장이 ''일본의 경제위기''에 모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일본의 정치.경제적 여건을 감안하면 과거 1970년대 영국이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던 정도로까지 상황이 나빠지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심각한 유동성 부족 사태에 직면할 가능성은 높은 상태다.

이 경우 일본 금융기관들은 해외에 투자한 자금 회수에 본격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4일 이후 세계적으로 금융주가 일제히 폭락세를 보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일본 금융기관들이 해외에 투자한 엔화 자금을 대거 회수할 경우 세계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은 의외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엔차입 거래로 정형화된 국제금융 시스템 = 지난 99년 2월 이후 일본은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제로금리정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8월 제로금리 정책을 포기했으나 인플레를 감안한다면 실질 금리는 여전히 제로(0)인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미국은 99년6월말 이후 금리를 인상해 왔고 유럽도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했다.

올들어 미국이 두차례에 걸쳐 금리를 내렸으나 일본 금리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다.

유럽 및 개도국 금리도 일본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의 엔화 자금을 차입 운용하는 관행(yen-carry trading)이 정형화돼 왔다.

이 상황에서 일본 금융기관들이 유동성 부족 사태에 몰려 기존에 대출해준 엔화 자금을 회수할 경우 엔차입 거래로 정형화된 국제 금융시스템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엔차입 자금 회수 가능성 높다 = 문제는 일본 금융기관들이 앞으로 상당기간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뚜렷한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는 한때 1만2천엔선이 붕괴됐다.

초저금리 정책으로 채권시장도 마비된 지 오래다.

부동산 가격도 90년대 초에 비해 약 60%정도 떨어진 상태다.

특히 미국에 투자한 엔화 자금이 이탈할 경우 이는 세계 금융공황의 전주곡이 될 수 있다.

엔화 자금체가 가속화되면서 세계 소득(GDP)의 약 25%를 차지하는 미국 경제의 위상만으로도 세계 경제를 일대 혼란에 몰아넣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증시 참여자들 사이에도 이런 가능성을 우려하는 시각이 고개를 들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국에서 엔화자금이 이탈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머니마켓펀드(MMF) 헤지펀드 뮤추얼펀드를 중심으로 외국 자금이 유입돼 달러화 가치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에게 어떤 영향 있나 = 결국 앞으로 일본 금융기관들이 대출 회수에 들어갈 경우 미국 유업보다는 한국을 비롯한 개도국들에 미치는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일본 금융기관들의 한국에 대한 대출 규모가 40억달러인 점을 들어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지난해 국제 고리대금업을 통한 엔화 차입분이 약 1조원 정도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출회수에 따른 타격은 의외로 심각할 수 있다.

지난 97년11월 이후 당시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규모를 훨씬 웃돌았던 일본계 자금이 미국 유럽계 자금보다 앞서 빠져나간 것이 외환위기를 심화시킨 직접적 계기가 된 적이 있다.

따라서 섣부른 낙관론보다는 사전에 충분한 대비책을 마련해 놓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하고 있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