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면회소가 시급한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에는 모든 것이 순조로웠다.
2차 이산가족 상봉때 3시간 동안이나 심술을 부렸던 평양 순안공항의 짙은 안개는 어디론가 자취를 감췄다.
''북한체제 비하발언''(장충식 전 한적총재) 파문으로 인한 잡음도 더이상 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감격과 눈물의 휴먼드라마는 어김없이 3차상봉에도 이어졌다.
서울 서초구 센트럴시티 밀레니엄홀과 평양 고려호텔에 각각 마련된 남북 단체상봉장은 방문단이 도착하자 금세 오열의 바다로 변했다.
혈육을 확인한 이산가족들은 얼싸안고 비벼대며 잡은 손을 놓을 줄 몰랐다.
반세기동안 몽매에도 그리던 오빠와 동생 형을 원없이 불러댔다.
노인성치매에 심장박동기까지 달고 온 손사정(90)씨는 1.4후퇴 때 북에 두고 온 아들 양록씨를 보자 흥분으로 말문이 막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6.15 정상회담 이후 세번째 맞은 남북이산가족 상봉은 확실히 종전과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정부도 가족상봉 기회를 1,2차보다 한차례 더 늘리는 등 이벤트성 행사는 가급적 줄이는 노력을 기울였다.
일본 공산당 기관지 아카하타(赤旗)의 오모카와 아코토 기자는 "차분해서 좋다"는 말로 이번 3차 상봉의 감회를 표현했다.
"1차 상봉 때는 일본 NHK방송이 단체 상봉장면을 생중계까지 했지만 2차부터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가 더 이상 뉴스거리가 안되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며 제3자로서의 바람을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는 상봉 횟수가 거듭될수록 1천만명이나 되는 이산가족들의 초조감은 오히려 더 깊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적 관심이 낮아져 혹시라도 흐지부지될까 우려해서다.
물론 이산가족들은 이같은 걱정을 애써 기우로 치부하고 있다.
적십자사에 상봉을 신청한 사람만도 10만명을 헤아리는데 상봉인원은 고작 1백명이니 그럴만도 하다.
앞으로 있게될 편지교환조차도 3백명으로 한정했다.
이런 속도라면 현재 60대의 젊은 할아버지들도 가족을 만나고 소식을 전할 가망성이 희박하다.
남북간에 평행선을 달리는 면회소 설치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김병일 정치부 기자 kbi@hankyung.com
2차 이산가족 상봉때 3시간 동안이나 심술을 부렸던 평양 순안공항의 짙은 안개는 어디론가 자취를 감췄다.
''북한체제 비하발언''(장충식 전 한적총재) 파문으로 인한 잡음도 더이상 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감격과 눈물의 휴먼드라마는 어김없이 3차상봉에도 이어졌다.
서울 서초구 센트럴시티 밀레니엄홀과 평양 고려호텔에 각각 마련된 남북 단체상봉장은 방문단이 도착하자 금세 오열의 바다로 변했다.
혈육을 확인한 이산가족들은 얼싸안고 비벼대며 잡은 손을 놓을 줄 몰랐다.
반세기동안 몽매에도 그리던 오빠와 동생 형을 원없이 불러댔다.
노인성치매에 심장박동기까지 달고 온 손사정(90)씨는 1.4후퇴 때 북에 두고 온 아들 양록씨를 보자 흥분으로 말문이 막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6.15 정상회담 이후 세번째 맞은 남북이산가족 상봉은 확실히 종전과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정부도 가족상봉 기회를 1,2차보다 한차례 더 늘리는 등 이벤트성 행사는 가급적 줄이는 노력을 기울였다.
일본 공산당 기관지 아카하타(赤旗)의 오모카와 아코토 기자는 "차분해서 좋다"는 말로 이번 3차 상봉의 감회를 표현했다.
"1차 상봉 때는 일본 NHK방송이 단체 상봉장면을 생중계까지 했지만 2차부터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가 더 이상 뉴스거리가 안되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며 제3자로서의 바람을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는 상봉 횟수가 거듭될수록 1천만명이나 되는 이산가족들의 초조감은 오히려 더 깊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적 관심이 낮아져 혹시라도 흐지부지될까 우려해서다.
물론 이산가족들은 이같은 걱정을 애써 기우로 치부하고 있다.
적십자사에 상봉을 신청한 사람만도 10만명을 헤아리는데 상봉인원은 고작 1백명이니 그럴만도 하다.
앞으로 있게될 편지교환조차도 3백명으로 한정했다.
이런 속도라면 현재 60대의 젊은 할아버지들도 가족을 만나고 소식을 전할 가망성이 희박하다.
남북간에 평행선을 달리는 면회소 설치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김병일 정치부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