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 패키징 등 한국 주력산업의 취약점이 되는 '초격차 급소 기술' 80개를 최대한 빨리 확보하기 위해 산업 연구개발(R&D)을 외국기관에 개방한다.
또 희토류를 안 쓰는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 인공지능(AI) 컴퓨팅, 세포 재생 신약 등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 기술' 100개를 개발하기 위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10대 '게임 체인저 기술' 발굴을 위한 연구도 해외에 문호를 열기로 했다. '개방'에 초점을 맞춘 새 산업 연구개발(R&D)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방문규 장관 주재로 열린 주요 기업 최고기술책임자(CTO) 간담회에서 이 같은 '글로벌 기술 협력 종합 전략'을 발표했다.
회의에는 현대차 이종수 부사장, CJ제일제당 황윤일 부사장, 삼성SDI 김윤창 부사장,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강석철 CTO, HD한국조선해양 장광필 연구소장, 네이버클라우드 곽용재 CTO 등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올해 5조7000억원에 달한 산업 R&D 중 6%에 못 미친 국제 협력 비중을 2018년까지 15%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국내 단독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해외 연구 기관과 공동 연구로 신속히 확보하기 위해서다.
산업 R&D 국제 협력 확대는 크게 80개 초격차 급소 기술과 100개 산업 원천 기술 분야로 나뉘어 추진된다.
먼저 초격차 급소 기술 개발 대상은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등 완성품에서 우리 기업이 경쟁력이 있지만 가치사슬상 취약점이 있어 시급히 확보해야 하는 핵심 기술들이다. 비교적 짧은 5년 내 상용화가 목표다.
내년 1천487억원을 투입해 48개 기술 개발에 먼저 착수하고 203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원장이 5일 부산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조선해양 분야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마켓’에 참석해 해외 바이어들과 환담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 KEIT는 조선해양 분야의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 사업 수행기업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5개국 8개 기업 해외 바이어를 초청하여 조선해양 분야 R&D 수행기업과의 수출상담회를 진행했다.
5일 부산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조선해양 분야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마켓’에 참석한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원장(왼쪽에서 여섯번째)이 해외 바이어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EIT는 친환경 선박, 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선박 시장 전망과 기술개발 현황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에게 미래선박 시장을 대비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였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SGC에너지가 최신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설비(사진)에서 냉각·압축한 액화탄산을 처음으로 출하했다. 이 액화탄산은 10년간 국내 기업에 장기 공급될 예정이다.
SGC에너지는 전북 군산 열병합발전소에서 CCU 설비의 본격적인 상업 가동에 들어갔다고 5일 발표했다. 이 공장에선 국내 최대인 하루 최대 300t, 연간 1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순도 99.9% 이상의 액화탄산을 생산한다. 액화탄산은 유통, 조선, 반도체,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된다. 특히 드라이아이스, 용접용 가스, 반도체 세정용 탄산 등에서 활용도가 높다.
이 설비는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대기로 내보내지 않고 포집해 액화탄산으로 바꿔 상품화한 것이 특징이다. 민간 발전사 중 최초이며 국내 최대 규모로 생산한다고 SGC에너지는 설명했다. SGC에너지는 지난해 5월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사업에 570억원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CCU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번 SGC에너지의 CCU 설비는 한국전력공사의 이산화탄소 포집 습식 기술을 적용했다. 박준영 SGC에너지 대표는 “SGC에너지의 이번 성공적 상업 운전 개시는 CCU 산업 활성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미선 기자 misunn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