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금융읽기] '미국경제 연착륙과 경착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동안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경제의 향방이 화두가 될 것 같다.
물론 미국경기 논쟁은 세계경기의 명암과 맞물린 중대한 문제다.
일부에서는 올해 5%에 달한 미국경제 성장률이 내년에는 2% 내외로 급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예상이 현실화된다면 미국경제는 "경착륙(hard landing)"이다.
반면 미국경제는 시간을 갖고 잠재수준인 3.5%로 안착해 "연착륙(soft landing)"을 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현재 미 연준리(FRB)의 공식적인 견해는 후자에 가깝다.
지난주에 열린 상원 금융위 청문회에서 그린스펀 의장은 "작년 6월말 이후 근 1년간 지속해온 금리인상 효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한 나라의 경기가 연착륙될 것인가,경착륙될 것인가는 크게 두가지 기준에 의해 판단된다.
하나는 성장의 질이 얼마나 건전한가 여부다.
현재 미국경제는 "고성장-저물가"로 상징되는 "신경제"와 "고성장-저물가-저실업"으로 대표되는 "골디락스 경제"로 불리울 만큼 건전하다.
다른 하나는 새로운 성장동인을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미국경제의 장기호황국면을 성장동인별로 구분해 보면 제1기(91년 3월~95년 3월)에는 구조조정 성과가,제2기(95년 4월~98년 8월)에는 강한 달러화 정책이,제3기(98년 9월~현재)에는 인터넷과 같은 첨단기술업종이 성장을 주도해 왔다.
다시 말해 미국경제는 기존의 성장동인이 약화될 무렵에 새로운 성장동인으로 잘 대체해 왔던 것이 10년이라는 긴 세월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보는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으나 이미 제4기에 미국경제를 이끌어 갈 성장동인으로 바이오 산업을 모색해 놓고 있는 상태다.
결국 이런 점은 앞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문제는 최근처럼 개방화되고 "미국중시의 질서(america-oriented society)"가 형성된 상황에서는 미국경제가 연착륙된다 하더라도 여타 국가들은 경착륙에 가까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미국의 수입은 매년 세계교역 증가율의 2배에 가까운 12%씩 증가해 세계경제 성장을 견인해 왔다.
반면 미국경기가 둔화될 경우 미국의 수입은 성장둔화폭보다 더 떨어져 세계경기를 급속히 둔화시키는 것이 관례다.
국제외환시장에서는 미국경기가 둔화되면 엔화,유로화를 중심으로 달러화 가치의 약세가 예상된다.
이 경우 다른 국가들은 수출경쟁력 약화를 초래,추가적인 경기둔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국가처럼 대부분 수출상품이 환율에 의존하는 국가일수록 심한 타격이 예상된다.
증시를 통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미국경기 둔화는 기업수익 감소를 초래,궁극적으론 주가하락으로 이어진다.
최근처럼 글로벌투자.기금투자가 일반화된 시대에 있어서는 수익률 보전차원에서 해외투자분이 회수당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동조화 추세가 심한 상태에서는 "역 부의 효과(anti-wealth effect)"도 예상된다.
결국 이런 점을 감안하면 대미 수출의존도가 낮으면서 품질 디자인 기술과 같은 가격이외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또 미국증시의 영향을 덜받는 국가일수록 미국경기 둔화에 따른 부담이 적게 된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금년들어 5월까지 대미 수출증가율은 33%에 달해 미국의 10대 수입국중 가장 높다.
수출상품도 환율에 의존하는 "천수답"구조다.
국내증시는 동조화계수가 0.9에 달할 만큼 미국증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미국경제 호황에 따라 많은 혜택을 받아 왔다.
그러나 미국 경기가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는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많은 타격이 예상된다.
정책당국자나 우리 경제에 또다른 시험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시점이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물론 미국경기 논쟁은 세계경기의 명암과 맞물린 중대한 문제다.
일부에서는 올해 5%에 달한 미국경제 성장률이 내년에는 2% 내외로 급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예상이 현실화된다면 미국경제는 "경착륙(hard landing)"이다.
반면 미국경제는 시간을 갖고 잠재수준인 3.5%로 안착해 "연착륙(soft landing)"을 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현재 미 연준리(FRB)의 공식적인 견해는 후자에 가깝다.
지난주에 열린 상원 금융위 청문회에서 그린스펀 의장은 "작년 6월말 이후 근 1년간 지속해온 금리인상 효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한 나라의 경기가 연착륙될 것인가,경착륙될 것인가는 크게 두가지 기준에 의해 판단된다.
하나는 성장의 질이 얼마나 건전한가 여부다.
현재 미국경제는 "고성장-저물가"로 상징되는 "신경제"와 "고성장-저물가-저실업"으로 대표되는 "골디락스 경제"로 불리울 만큼 건전하다.
다른 하나는 새로운 성장동인을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미국경제의 장기호황국면을 성장동인별로 구분해 보면 제1기(91년 3월~95년 3월)에는 구조조정 성과가,제2기(95년 4월~98년 8월)에는 강한 달러화 정책이,제3기(98년 9월~현재)에는 인터넷과 같은 첨단기술업종이 성장을 주도해 왔다.
다시 말해 미국경제는 기존의 성장동인이 약화될 무렵에 새로운 성장동인으로 잘 대체해 왔던 것이 10년이라는 긴 세월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보는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으나 이미 제4기에 미국경제를 이끌어 갈 성장동인으로 바이오 산업을 모색해 놓고 있는 상태다.
결국 이런 점은 앞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문제는 최근처럼 개방화되고 "미국중시의 질서(america-oriented society)"가 형성된 상황에서는 미국경제가 연착륙된다 하더라도 여타 국가들은 경착륙에 가까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미국의 수입은 매년 세계교역 증가율의 2배에 가까운 12%씩 증가해 세계경제 성장을 견인해 왔다.
반면 미국경기가 둔화될 경우 미국의 수입은 성장둔화폭보다 더 떨어져 세계경기를 급속히 둔화시키는 것이 관례다.
국제외환시장에서는 미국경기가 둔화되면 엔화,유로화를 중심으로 달러화 가치의 약세가 예상된다.
이 경우 다른 국가들은 수출경쟁력 약화를 초래,추가적인 경기둔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국가처럼 대부분 수출상품이 환율에 의존하는 국가일수록 심한 타격이 예상된다.
증시를 통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미국경기 둔화는 기업수익 감소를 초래,궁극적으론 주가하락으로 이어진다.
최근처럼 글로벌투자.기금투자가 일반화된 시대에 있어서는 수익률 보전차원에서 해외투자분이 회수당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동조화 추세가 심한 상태에서는 "역 부의 효과(anti-wealth effect)"도 예상된다.
결국 이런 점을 감안하면 대미 수출의존도가 낮으면서 품질 디자인 기술과 같은 가격이외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또 미국증시의 영향을 덜받는 국가일수록 미국경기 둔화에 따른 부담이 적게 된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금년들어 5월까지 대미 수출증가율은 33%에 달해 미국의 10대 수입국중 가장 높다.
수출상품도 환율에 의존하는 "천수답"구조다.
국내증시는 동조화계수가 0.9에 달할 만큼 미국증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미국경제 호황에 따라 많은 혜택을 받아 왔다.
그러나 미국 경기가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는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많은 타격이 예상된다.
정책당국자나 우리 경제에 또다른 시험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시점이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