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경쟁입찰은 채권단의 불가피한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GM 포드가 인수의사를 공식 표명한데다 피아트 다임러크라이슬러 현대 삼성
등 국내외 업체들의 물밑행보도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인수희망업체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섣불리 특정업체와
매각약정을 체결할 수는 없다는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시일이 다소 걸리고 번잡한 절차가 있겠지만 엄청난
자산과 설비를 갖고 있는 대우차를 수의계약으로 팔 수는 없다"고 말했다.

특혜시비를 차단함은 물론 보다 유리한 가격에 팔기 위해서라도 경쟁입찰은
필요하다는게 채권단의 확고한 입장이다.

지난 8월 GM과 대우가 양해각서를 체결했을 때만 해도 GM은 느긋하고 대우는
다급했다.

그러나 양해각서상의 배타적 협상시한이 지난달 15일로 종료되고 대우
사장단이 일괄 사표를 제출하면서 사정은 달라졌다.

협상의 칼자루를 쥐게된 채권단은 좀처럼 속내를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제 값을 받지못할 바에야 독자생존시키겠다"는 얘기로 GM을 압박했다.

더욱이 포드같은 강력한 경쟁자가 인수의사를 밝히고 나서자 GM의 협상력은
현저히 약화될 위기에 놓였다.

이런 상황에서 경쟁입찰은 대우차 인수가격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채권단은 또 경쟁입찰시 주식인수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를 포함한 모든 자산을 인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채권회수
가 용이하다.

종업원들의 안정적인 고용승계가 가능하고 기존 자산에 대해 청산절차를
밟을 필요도 없다.

반면 국내외공장과 설비 등 유형고정자산을 선택적으로 사들이는 자산인수
방식은 여러모로 문제가 많다.

인수대상에서 제외된 공장과 설비가 사장될 가능성이 높은데다 실직자 증가
에 따른 정책적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정부 역시 부분매각이나 자산인수 형태의 매각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누가 인수하든 조기 정상화를 통해 기존 설비를 풀가동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다.

정부나 채권단이 간헐적으로 "독자생존 불사"를 강조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다만 주식인수방식을 채택할 경우 인수업체들이 대우차의 "우발채무" 발생
가능성을 문제삼을 수도 있다.

이경우 기아자동차의 선례처럼 채권단이 추가로 부채를 탕감해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 조일훈 기자 jih@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