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중산층 경제의식 조사 : '달라진 국민생활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경제신문사는 창간 35돌을 맞아 "중산층 경제의식조사"를 실시했다.
경제위기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서도 특히 중산층은 도산 개인
파산 정리해고 임금삭감 등 6.25이후 최악의 시련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직업관에서부터 근로의식 투자행태에 이르기까지 경제의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중산층은 위기의 깊은 터널에서 벗어나고있지만 뉴밀레니엄을 향한 새로운
도전을 해야 하는 시점에 서 있다.
한경은 KRC 리서치인터내셔널(대표 박영준)과 공동으로 중산층의 바뀐
모습과 정서를 읽어내고 새천년의 좌표설정을 시도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9월27일부터 10월4일까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전국 6개 도시의 25세이상 남녀 가구주 및 가정주부 1천명을 대상
으로 이뤄졌다.
-----------------------------------------------------------------------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IMF체제 이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자신을 하류층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 IMF 경제위기로 입은 경제적 피해가 절반 정도 회복되는데 그쳐 생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따라 국가 경제가 IMF체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더라도 자신의 경제적
지위가 원상복귀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 10명중 6명이 하류층 =전체 응답자중 29.3%가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자신의 신분이 하락했다고 응답했다.
외환위기전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의 비중은 63.7%에
달했으나 2년만에 38.4%로 곤두박질쳤다.
또 스스로를 상류층이라고 인식하는 비중도 외환위기 이전의 2.6%에서
0.3%로 줄었다.
반면 하류층이라고 여기는 비중은 33.7%에서 61.3%로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 이후 사회전반에 신분계층 몰락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대구(69.9%), 대전(66.7%), 부산(65.9%) 지역이 스스로를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은 광주(46.4%), 서울(41.3%), 인천(40.6%)
등에서 높게 나왔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과 30대가 상대적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중산층으로
여기는 비율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도 늘어나 소득수준과
사회적 신분인식간엔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줬다.
신분을 하락시킨 주범으로는 압도적인 74.1%가 소득감소를 지목했다.
실직(24.9%)과 자산가치 하락(21.2%) 등도 공범대열에 올랐다.
<> IMF 피해는 절반극복 =IMF 체제에 따라 4명중 3명꼴로 경제적 손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가구당 손실액은 평균 5천1백83만원으로 평가됐다.
손실내용으로는 사업실패가 2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급 및 보너스 감봉(24.1%)과 실직(19.4%), 부동산손실(16.6%),
예금손실(11.1%), 유가증권 손실(10.7%), 보증책임(8.2%) 등의 순이었다.
지난 2년간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손실액중 44.7%를 회복한 것으로 조사
됐다.
이중 유가증권으로 인한 손해는 증시회복세에 힘입어 모두 만회하고 현재는
이익을 내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역별 회복률을 보면 서울이 50.6%, 부산 48.4%, 대전 39.7%의 순이었다.
광주와 대구가 각각 15.5%와 17.7%로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인 경우 IMF 이전보다 오히려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임시계약직에서 정식직원으로 신분이 바뀌거나 채용문이
넓어진데 따른 결과다.
반면 월평균소득 1백만원 이하인 경우 손실액중 14.4%만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IMF에 따른 손실회복에도 심각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한편 실직경험률은 19.4%인데 비해 실직후 재취업한 경우는 4.8%에 그쳤다.
현재 가장이 실업상태인 가구는 전체의 8.1%에 달해 장기실업구조가 고착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 흔들리는 직장관 =직장인중 30.1%가 현재 직장의 근무가능 기간을 "3년
이하"라고 응답했다.
월평균 소득이 1백만원 이하인 경우 3년 이하로 단기적으로 보는 시각이
51.7%에 달했다.
저소득층일수록 심각한 고용불안감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고용불안은 직장선택의 기준까지 바꿔 놓았다.
직장을 고르는 관건으로 절반이 넘는 53.4%가 "안정성"을 꼽았다.
특히 여성이나 고연령층, 저소득층일수록 직장의 안정성을 중시했다.
반면 남자, 저연령층, 고소득층인 경우 상대적으로 실력발휘나 교육기회
등을 직장선택의 주요 요인으로 드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중산층 복귀엔 비관적 =중산층으로 복귀하는 시기에 대해 전체의 69%가
5년이상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2년안에 중산층으로 재진입할 수 있다고 말한 사람은 8.3%에 불과했다.
저소득층일수록 5년이상으로 길게 내다보는 비율이 높았다.
낙관적인 경기회복 전망에 비해 국민 스스로의 사회적 신분상승에 대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5일자 ).
경제위기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서도 특히 중산층은 도산 개인
파산 정리해고 임금삭감 등 6.25이후 최악의 시련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직업관에서부터 근로의식 투자행태에 이르기까지 경제의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중산층은 위기의 깊은 터널에서 벗어나고있지만 뉴밀레니엄을 향한 새로운
도전을 해야 하는 시점에 서 있다.
한경은 KRC 리서치인터내셔널(대표 박영준)과 공동으로 중산층의 바뀐
모습과 정서를 읽어내고 새천년의 좌표설정을 시도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9월27일부터 10월4일까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전국 6개 도시의 25세이상 남녀 가구주 및 가정주부 1천명을 대상
으로 이뤄졌다.
-----------------------------------------------------------------------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IMF체제 이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자신을 하류층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 IMF 경제위기로 입은 경제적 피해가 절반 정도 회복되는데 그쳐 생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따라 국가 경제가 IMF체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더라도 자신의 경제적
지위가 원상복귀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 10명중 6명이 하류층 =전체 응답자중 29.3%가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자신의 신분이 하락했다고 응답했다.
외환위기전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의 비중은 63.7%에
달했으나 2년만에 38.4%로 곤두박질쳤다.
또 스스로를 상류층이라고 인식하는 비중도 외환위기 이전의 2.6%에서
0.3%로 줄었다.
반면 하류층이라고 여기는 비중은 33.7%에서 61.3%로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 이후 사회전반에 신분계층 몰락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대구(69.9%), 대전(66.7%), 부산(65.9%) 지역이 스스로를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은 광주(46.4%), 서울(41.3%), 인천(40.6%)
등에서 높게 나왔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과 30대가 상대적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중산층으로
여기는 비율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도 늘어나 소득수준과
사회적 신분인식간엔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줬다.
신분을 하락시킨 주범으로는 압도적인 74.1%가 소득감소를 지목했다.
실직(24.9%)과 자산가치 하락(21.2%) 등도 공범대열에 올랐다.
<> IMF 피해는 절반극복 =IMF 체제에 따라 4명중 3명꼴로 경제적 손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가구당 손실액은 평균 5천1백83만원으로 평가됐다.
손실내용으로는 사업실패가 2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급 및 보너스 감봉(24.1%)과 실직(19.4%), 부동산손실(16.6%),
예금손실(11.1%), 유가증권 손실(10.7%), 보증책임(8.2%) 등의 순이었다.
지난 2년간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손실액중 44.7%를 회복한 것으로 조사
됐다.
이중 유가증권으로 인한 손해는 증시회복세에 힘입어 모두 만회하고 현재는
이익을 내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역별 회복률을 보면 서울이 50.6%, 부산 48.4%, 대전 39.7%의 순이었다.
광주와 대구가 각각 15.5%와 17.7%로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인 경우 IMF 이전보다 오히려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임시계약직에서 정식직원으로 신분이 바뀌거나 채용문이
넓어진데 따른 결과다.
반면 월평균소득 1백만원 이하인 경우 손실액중 14.4%만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IMF에 따른 손실회복에도 심각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한편 실직경험률은 19.4%인데 비해 실직후 재취업한 경우는 4.8%에 그쳤다.
현재 가장이 실업상태인 가구는 전체의 8.1%에 달해 장기실업구조가 고착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 흔들리는 직장관 =직장인중 30.1%가 현재 직장의 근무가능 기간을 "3년
이하"라고 응답했다.
월평균 소득이 1백만원 이하인 경우 3년 이하로 단기적으로 보는 시각이
51.7%에 달했다.
저소득층일수록 심각한 고용불안감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고용불안은 직장선택의 기준까지 바꿔 놓았다.
직장을 고르는 관건으로 절반이 넘는 53.4%가 "안정성"을 꼽았다.
특히 여성이나 고연령층, 저소득층일수록 직장의 안정성을 중시했다.
반면 남자, 저연령층, 고소득층인 경우 상대적으로 실력발휘나 교육기회
등을 직장선택의 주요 요인으로 드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중산층 복귀엔 비관적 =중산층으로 복귀하는 시기에 대해 전체의 69%가
5년이상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2년안에 중산층으로 재진입할 수 있다고 말한 사람은 8.3%에 불과했다.
저소득층일수록 5년이상으로 길게 내다보는 비율이 높았다.
낙관적인 경기회복 전망에 비해 국민 스스로의 사회적 신분상승에 대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