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광장] (대학생 마당) 신지식인운동속 '경제논리' 경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 일간지가 출간한 책에서 출발한 지식사회 담론이 "제2건국위"의 신지식인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올 국정과제에 "지식기반 경제발전 종합계획"을 포함했다.
"학력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해 부가가치를 능동적
으로 창출하는 사람" 즉 신지식인을 21세기 한국인의 모델로 삼고 있다.
정부 각 부처와 기업에서는 신지식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이러한 신지식인운동은 일견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고질적 병폐로 작용해 왔던 학벌위주의 일류주의를
깨고 창의적으로 자기분야의 최고가 되면 누구나 인정받도록 하자는 취지
때문이다.
고객만족에 성공한 자장면 배달부, 고추개량법을 개발한 농부 등 정부가
제시한 신지식인 모델들은 평범한 국민들에게 희망을 준다.
하지만 신지식인운동속에 숨은 경제논리에는 보다 큰 부정적 측면이 있다.
신지식인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IMF라는 심각한 경제난이 있다.
국가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돈"되는 지식을 가진 사람을 많이 만들자는 것이다.
사회적인 구조조정에서 퇴출 당한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사회적 불만을 해소시키기 위한 묘책도 숨어 있는 듯하다.
저명 사회학자들이 지적하듯 21세기 지식사회의 도래가 거스를수 없는 흐름
이다.
하지만 경쟁력이나 생산성이라는 기준에 의해 평가된 신지식인 운동속의
지식 개념엔 회의적이다.
21세기에도 우리사회는 경제적 부가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지식분야와
지식인이 필요함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 김유미 고려대 서양학과3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12일자 ).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올 국정과제에 "지식기반 경제발전 종합계획"을 포함했다.
"학력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해 부가가치를 능동적
으로 창출하는 사람" 즉 신지식인을 21세기 한국인의 모델로 삼고 있다.
정부 각 부처와 기업에서는 신지식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이러한 신지식인운동은 일견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고질적 병폐로 작용해 왔던 학벌위주의 일류주의를
깨고 창의적으로 자기분야의 최고가 되면 누구나 인정받도록 하자는 취지
때문이다.
고객만족에 성공한 자장면 배달부, 고추개량법을 개발한 농부 등 정부가
제시한 신지식인 모델들은 평범한 국민들에게 희망을 준다.
하지만 신지식인운동속에 숨은 경제논리에는 보다 큰 부정적 측면이 있다.
신지식인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IMF라는 심각한 경제난이 있다.
국가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돈"되는 지식을 가진 사람을 많이 만들자는 것이다.
사회적인 구조조정에서 퇴출 당한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사회적 불만을 해소시키기 위한 묘책도 숨어 있는 듯하다.
저명 사회학자들이 지적하듯 21세기 지식사회의 도래가 거스를수 없는 흐름
이다.
하지만 경쟁력이나 생산성이라는 기준에 의해 평가된 신지식인 운동속의
지식 개념엔 회의적이다.
21세기에도 우리사회는 경제적 부가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지식분야와
지식인이 필요함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 김유미 고려대 서양학과3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