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노트] (영어로 배우는 국제경제) 'Free money...'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Free money won''t fix Japan >
It''s so very tempting to buy Japanese stocks.
They''re still down 60% from their 1989 peak and some well respected
strategists, including Morgan Stanley''s Barton Biggs, are bullish.
The Japanese government is finally pushing the monetary pedal to the
metal.
Convinced that more tax cuts and spending won''t end the country''s
deflationary depression, it has decided to hand out free yen to
stimulate growth.
Bank of Japan Governor Masaru Hayami has said, "If a zero [interest]
rate is appropriate, the rate can be zero."
And the government is dispensing money with a free hand.
U.S.Treasury Secretary Robert Rubin approves of this extreme monetary
ease as a logical way for Japan to stimulate "domestic demand led
growth."
Dreamers, dream on.
A money flood will not end deflation or stop consumers from putting
off purchases in anticipation of still lower prices.
It will not, as intended, create inflation and make people buy
things in fear that prices will rise.
Excess money has never ended deflation.
( 중략 )
Japan could dump money from airplanes.
But sacks of cash don''t fuel growth.
You can argue that the Federal Reserve in the 1930s and the BOJ in the
1990s should have gone further and virtually dumped cash out of
airplanes.
But it isn''t a lack of currency that creates deflation.
Think back to the U.S. in the late 1800s and the 1920s.
The money supply grew faster in those times than the economy did, and
there was deflation.
Key difference: The economy was booming; there was borrowing, lending,
spending and deflation driven by an exuberant excess supply rather than
a dour lack of demand.
Productivity gains and the resulting optimism, not sacks of bills,
fuel economic growth, even when prices are falling.
Forbes 4월5일자, by Gary Shilling(경제 평론가)
-----------------------------------------------------------------------
< 요약 >
일본 정부가 경기를 되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의 하나로 도입한 무료 상품권
발행 등 통화측면의 요법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이다.
일본 중앙은행의 하야미 마사루 총재는 "경기부양을 위해 필요하다면
이자율을 0%로 할 수도 있다"고까지 공언하고 있을 정도로 디플레의 망령을
쫓기 위한 일본 금융당국의 노력은 처절하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 당국자들의 생각은 간단하다.
무료 상품권을 발행해 국민들에게 나눠 주고 금리를 0%로까지 낮추면
일반의 소비마인드가 되살아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미국의 로버트 루빈 재무부 장관도 일본정부의 이런 "희망사항"에 장단을
맞춰 주고 있다.
내수 주도의 성장력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마디로 이들은 현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몽상가들일 뿐이다.
지난 1800년대와 1920년대 미국의 불황기가 이를 반증한다.
당시 미국정부는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통화공급을 대폭 늘렸지만 디플레
를 막지 못했다.
수요가 그만큼 늘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항구적인 감세 등 구조적인 재정완화 정책을
펴야지,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경기부양 조치를 써본들 막대한 재정만 낭비
하고 만다.
결국 경기를 살리는 것은 생산성 향상과 미래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라는게
필자의 주장이다.
-----------------------------------------------------------------------
< 용어설명 >
<> 통화 공급량(money supply)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
(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M2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
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 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
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정리=이학영 뉴욕특파원 hyrhee@earthlink.ne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일자 ).
It''s so very tempting to buy Japanese stocks.
They''re still down 60% from their 1989 peak and some well respected
strategists, including Morgan Stanley''s Barton Biggs, are bullish.
The Japanese government is finally pushing the monetary pedal to the
metal.
Convinced that more tax cuts and spending won''t end the country''s
deflationary depression, it has decided to hand out free yen to
stimulate growth.
Bank of Japan Governor Masaru Hayami has said, "If a zero [interest]
rate is appropriate, the rate can be zero."
And the government is dispensing money with a free hand.
U.S.Treasury Secretary Robert Rubin approves of this extreme monetary
ease as a logical way for Japan to stimulate "domestic demand led
growth."
Dreamers, dream on.
A money flood will not end deflation or stop consumers from putting
off purchases in anticipation of still lower prices.
It will not, as intended, create inflation and make people buy
things in fear that prices will rise.
Excess money has never ended deflation.
( 중략 )
Japan could dump money from airplanes.
But sacks of cash don''t fuel growth.
You can argue that the Federal Reserve in the 1930s and the BOJ in the
1990s should have gone further and virtually dumped cash out of
airplanes.
But it isn''t a lack of currency that creates deflation.
Think back to the U.S. in the late 1800s and the 1920s.
The money supply grew faster in those times than the economy did, and
there was deflation.
Key difference: The economy was booming; there was borrowing, lending,
spending and deflation driven by an exuberant excess supply rather than
a dour lack of demand.
Productivity gains and the resulting optimism, not sacks of bills,
fuel economic growth, even when prices are falling.
Forbes 4월5일자, by Gary Shilling(경제 평론가)
-----------------------------------------------------------------------
< 요약 >
일본 정부가 경기를 되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의 하나로 도입한 무료 상품권
발행 등 통화측면의 요법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이다.
일본 중앙은행의 하야미 마사루 총재는 "경기부양을 위해 필요하다면
이자율을 0%로 할 수도 있다"고까지 공언하고 있을 정도로 디플레의 망령을
쫓기 위한 일본 금융당국의 노력은 처절하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 당국자들의 생각은 간단하다.
무료 상품권을 발행해 국민들에게 나눠 주고 금리를 0%로까지 낮추면
일반의 소비마인드가 되살아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미국의 로버트 루빈 재무부 장관도 일본정부의 이런 "희망사항"에 장단을
맞춰 주고 있다.
내수 주도의 성장력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마디로 이들은 현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몽상가들일 뿐이다.
지난 1800년대와 1920년대 미국의 불황기가 이를 반증한다.
당시 미국정부는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통화공급을 대폭 늘렸지만 디플레
를 막지 못했다.
수요가 그만큼 늘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항구적인 감세 등 구조적인 재정완화 정책을
펴야지,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경기부양 조치를 써본들 막대한 재정만 낭비
하고 만다.
결국 경기를 살리는 것은 생산성 향상과 미래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라는게
필자의 주장이다.
-----------------------------------------------------------------------
< 용어설명 >
<> 통화 공급량(money supply)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
(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M2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
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 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
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정리=이학영 뉴욕특파원 hyrhee@earthlink.ne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