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련의 정치행위에서 보여준 그의 뚝심이 무서울 정도로 돌파력을
보였기 때문이다.
공동정권 출범후 대통령을 보좌하는 것으로 1년여를 보내다시피 했던
김종필 총리는 요즘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자신의 의지를 확실하게 관철시키고 있기도 하다.
23일 해양수산부장관 교체가 단적인 예다.
청와대는 한.일 어업협상 실패를 교훈삼아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입각해야
한다는 의지를 김 총리에게 전달했지만 철저히 무시됐다는 후문이다.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리더십이 더 필요하다"는 JP의 소신대로
정상천 장관이 기용된 것이다.
국민연금 문제로 "말썽"을 빚은 김모임 보건복지부장관이 자리를 계속
지킬 수 있었던 것도 말할 것도 없이 JP의 뜻이었다.
국무회의 석상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질책했었다.
하지만 김 총리는 "끝까지 책임져라. 일을 하다 보면 뜻하지 않은 실책도
나올 수 있다"는 말로 격려, 경질설을 없던 일로 만들었다.
자민련 몫의 장관은 진퇴를 자신이 결정하겠다는 JP의 강력한 의지의
표현에 다름아니다.
정부조직개편안 마련 과정에서도 JP는 챙길 것을 다 챙겼다.
야권은 물론 국민회의에서 조차 "공보처의 부활"로 비쳐질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던 국정홍보처를 총리실 산하로 뒀다.
국민회의 출신 신낙균 장관이 있는 문화관광부가 그동안 줄곧 공보기능을
문화관광부로 모아야 한다고 한 주장이 오히려 JP의 자존심을 자극했다는
분석도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해 국민회의 보다는 자민련이 내놓았던
안은 상당부분 수용됐다.
이같은 JP의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여러가지 추정이 가능하겠지만 "내각제 논의 상반기 유보"로 김 대통령
에게 힘을 실어준 만큼 공동정권의 일정 "지분"을 김 총리에게 확실히 보장
한다는 교감이 DJ와 JP 사이에 있지 않았겠느냐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나돈다.
김 총리가 "실세 총리"로서 국정을 챙기게 되면 될수록 역으로 JP와
청와대 사이에는 앞으로 갖가지 정책이나 정치적 입장에서 마찰을 빚을
가능성은 그만큼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정권의 한 "집행자"로서 JP의 행보는 이래저래 관심거리다.
< 양승현 기자 yangs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