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작가 현기영(58)씨가 10년만에 새 장편 "지상에 숟가락 하나"(실천문학
사)를 내놓았다.

자전적 성격을 띤 이 작품에서 그는 유년시절의 추억과 한국 현대사의
그늘을 섬세한 필치로 그려낸다.

소설의 밑그림은 막막한 바다에 갇혀 외로움을 삭이던 섬 소년이 어엿한
문학청년으로 커가는 과정이다.

그 위에 비극적인 가족사와 4.3사건 한국전쟁 등 슬픔의 무늬들이 겹쳐진다.

역사의 행간에 감춰져 있던 한 작가의 성장기록은 담담하면서도 애잔하게
읽힌다.

그의 회상은 아버지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다.

질곡의 시대를 견뎌온 아버지에게 죽음은 "실패자가 쟁취한 최후의 승리"다.

뱀을 영감이라고 부르던 증조할아버지와 살쾡이를 무서워했던 나의 어린시절
도 어둡기는 마찬가지.

4.3사태때 오름봉우리에 오르던 봉앳불(봉화)과 토벌대가 마을에 지른 방앳
불(방화)은 아직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아픔이다.

허기져 드러누운 어머니에게 "약으로 써라"며 외할아버지가 보내준 돼지고기
한 근은 또 얼마나 가슴 아린 기억인가.

세상에 그렇게 맛있는 약이 있을까.

작품 속에는 그의 글쓰기에 얽힌 이야기도 들어있다.

중학교 1학년 때 "학원"지의 고교생들 작품을 흉내내어 써 본 "어머니와
어머니"가 그의 첫 소설이었다.

그러나 진정한 문학수업은 아버지를 향한 7년간의 편지쓰기에서 비롯됐다.

아버지는 늘 부재중이었으며 또한 투쟁의 대상이었다.

광활한 수평선마저 올가미처럼 그를 옭죄었다.

그런 그에게 문학과 독서는 유일한 출구였다.

"문학을 신봉하기 시작하면서 이상이나 카뮈 등을 내 식구보다 더 가까운
혈연처럼 생각했고 그들이 가르친 파격 반항 불성실 같은 것들을 금과옥조로
삼았지요"

그것은 곧 "아프면서 크는" 성장과정이었다.

그래서 요즘은 "얼굴이 점점 아버지의 영정을 닮아가고 날마다 자연으로
돌아가는 귀향연습"을 한다.

그는 작품 말미에 "내가 떠난 곳이 변경이 아니라 세계의 중심이라고 저
바다는 일깨워준다"고 썼다.

그 고백처럼 "영원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 모태로 돌아가는 순환의
도정"에 그는 지금 서 있는 것이다.

"인간성장의 방정식에는 변수와 항수가 함께 들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거죠"

< 고두현 기자 kd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