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면톱] 시공사 선택 '관건'..조합주택청약 체크포인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합아파트 무분별한 청약은 금물"
최근 경기도 용인 평촌 파주등지를 중심으로 단기간에 분양을 끝내는 조합
아파트가 잇따라 나오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조합아파트는 사업특성상 일반 분양과 다른 점이 많아 가입하기
전에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가장 유념해야 할 점은 주택공제조합의 분양보증 대상이 아니라는 것.
시공사가 부도나면 공사가 장기지연되거나 분양대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
지자체에서 사업승인을 받기 전에 조합원을 모집하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허가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공기지연은 물론 용적률 조정, 인입비(도로
상수도 가설비용), 기부채납 등으로 추가사업비 부담이 늘어나는게 보통이다.
조합아파트는 일반적으로 입주때까지 기간이 길고 추가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고려, 모든 상황과 절차를 면밀히 검토한 후에 청약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 피해사례 =용인지역은 지난 96,97년 조합아파트 건립사업이 가장 활발
했던 곳이다.
10여개 조합이 1만여가구 이상의 조합원을 모집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아파트 건립이 제대로 진행중인 곳은 현대아파트
(국방충성조합)등 한 두개에 불과하다.
경향 대진 동성종합건설 등 시행사 대부분이 부도났거나 화의신청중이어서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이들중 일부는 시공사를 대형건설업체로 교체(경향 길훈)해 사업을 다시
추진중이지만 나머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심지어 조합원 모집을 대행하던 회사가 부도를 내고 잠적한 곳도 있다.
비교적 정상적인 절차를 밟고 있는 조합아파트도 추가사업비 부담이 발생
한다.
내년 10월 입주할 평촌 D아파트 경우 공사기간은 5년, 금융비용을 포함한
추가부담은 2천만원에 이른다.
사업승인 과정서 용적률이 줄어들고 기부채납 비용이 추가됐기 때문.
일반 분양아파트에 비해 2년이상 입주가 지연되고 시세차익은 기대조차
못하는 상황이다.
각종 편법을 동원해 실질적으로 분양가를 높이는 곳도 있다.
업체가 주장하는 가격에 옵션제 사업추진비 등을 합하면 실제 분양가가
15%이상 높아진다.
이런 업체들일수록 중도해약을 안해줘 자칫 계약금만 떼이는 사례가 많다.
<> 체크포인트 =분양가외에 별도로 추가사업비 부담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담과 광고만으론 이를 확인하기가 힘들다.
계약하기 전에 약관을 꼼꼼히 살피고 모르는 것은 담당자에게 물어보는게
필요하다.
또 사업지연 사례 대부분이 토지문제임을 감안해 계약체결 여부를 알아보고
반드시 현장을 방문, 무단점유자나 혐오시설 등 사업에 장애가 될만한 요인
들은 없는지 따져봐야 한다.
이와함께 가급적 믿을 수 있는 시공사와 조합을 선택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들 조합아파트는 자금운용이 확실하고 사업추진이 빨라 투자안전성이
높은 편이다.
특히 최근 서울과 수도권에서 대형건설업체가 시공 분양을 담당하는 곳중엔
괜찮은 곳이 많다.
가격거품을 제거한데다 추가부담이 없는 확정분양가를 적용, 사업안전성과
투자수익성이 높다.
앞으로 나올 물량도 영등포 하이트부지에 건립되는 대우아파트 2천4백여
가구를 비롯 대단지가 많아 관심을 가질만하다.
< 유대형 기자 yoodh@ 김태철 기자 synerg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6일자 ).
최근 경기도 용인 평촌 파주등지를 중심으로 단기간에 분양을 끝내는 조합
아파트가 잇따라 나오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조합아파트는 사업특성상 일반 분양과 다른 점이 많아 가입하기
전에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가장 유념해야 할 점은 주택공제조합의 분양보증 대상이 아니라는 것.
시공사가 부도나면 공사가 장기지연되거나 분양대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
지자체에서 사업승인을 받기 전에 조합원을 모집하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허가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공기지연은 물론 용적률 조정, 인입비(도로
상수도 가설비용), 기부채납 등으로 추가사업비 부담이 늘어나는게 보통이다.
조합아파트는 일반적으로 입주때까지 기간이 길고 추가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고려, 모든 상황과 절차를 면밀히 검토한 후에 청약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 피해사례 =용인지역은 지난 96,97년 조합아파트 건립사업이 가장 활발
했던 곳이다.
10여개 조합이 1만여가구 이상의 조합원을 모집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아파트 건립이 제대로 진행중인 곳은 현대아파트
(국방충성조합)등 한 두개에 불과하다.
경향 대진 동성종합건설 등 시행사 대부분이 부도났거나 화의신청중이어서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이들중 일부는 시공사를 대형건설업체로 교체(경향 길훈)해 사업을 다시
추진중이지만 나머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심지어 조합원 모집을 대행하던 회사가 부도를 내고 잠적한 곳도 있다.
비교적 정상적인 절차를 밟고 있는 조합아파트도 추가사업비 부담이 발생
한다.
내년 10월 입주할 평촌 D아파트 경우 공사기간은 5년, 금융비용을 포함한
추가부담은 2천만원에 이른다.
사업승인 과정서 용적률이 줄어들고 기부채납 비용이 추가됐기 때문.
일반 분양아파트에 비해 2년이상 입주가 지연되고 시세차익은 기대조차
못하는 상황이다.
각종 편법을 동원해 실질적으로 분양가를 높이는 곳도 있다.
업체가 주장하는 가격에 옵션제 사업추진비 등을 합하면 실제 분양가가
15%이상 높아진다.
이런 업체들일수록 중도해약을 안해줘 자칫 계약금만 떼이는 사례가 많다.
<> 체크포인트 =분양가외에 별도로 추가사업비 부담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담과 광고만으론 이를 확인하기가 힘들다.
계약하기 전에 약관을 꼼꼼히 살피고 모르는 것은 담당자에게 물어보는게
필요하다.
또 사업지연 사례 대부분이 토지문제임을 감안해 계약체결 여부를 알아보고
반드시 현장을 방문, 무단점유자나 혐오시설 등 사업에 장애가 될만한 요인
들은 없는지 따져봐야 한다.
이와함께 가급적 믿을 수 있는 시공사와 조합을 선택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들 조합아파트는 자금운용이 확실하고 사업추진이 빨라 투자안전성이
높은 편이다.
특히 최근 서울과 수도권에서 대형건설업체가 시공 분양을 담당하는 곳중엔
괜찮은 곳이 많다.
가격거품을 제거한데다 추가부담이 없는 확정분양가를 적용, 사업안전성과
투자수익성이 높다.
앞으로 나올 물량도 영등포 하이트부지에 건립되는 대우아파트 2천4백여
가구를 비롯 대단지가 많아 관심을 가질만하다.
< 유대형 기자 yoodh@ 김태철 기자 synerg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