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의자-나는 이렇게 하겠다] 정재룡 <성업공사 사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되도록 비싼 값에 신속히 부실채권을 되파는 게 앞으로의 과제다. 그 대상
은 내국인 외국인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특히 회생 가능한 기업의 경우
워크아웃(work-out)을 통해 부실자산을 건전자산으로 탈바꿈 시킨뒤 제값을
받고 매각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
지난 5일 취임한 정재룡(53) 성업공사 신임사장은 "지난해엔 금융구조조정에
따라 성업공사가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데 주력했지만 앞으론 이 채권들을 잘
다듬어 비싼 값에 파는 게 관건"이라고 밝혔다.
정사장은 "그래야 수십조원이 투입된 재정자금을 온전히 회수해 국민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재정경제부 차관보까지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인 정사장은 그러나 "담보로
잡힌 땅이나 건물을 매각할땐 국내 부동산 경기동향 등을 면밀히 따져 매각
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며 "성업공사의 부동산 공매가 시장에 부담을 주진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업과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이 한창 진행되면서 성업공사의 역할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졌다. 주요 업무를 간략히 설명한다면.
"성업공사의 가장 큰 업무는 부실채권을 매입해 정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론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사들인 다음 담보 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자산담보부증권(ABS) 등을 발행해 채권을 되파는 것이다.
지난해 금융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성업공사의 업무가 크게 늘었다.
성업공사는 작년중 은행 종금사 등 77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44조원어치를
19조9천억원에 사들였다.
이중 현재까지 1조4천억원 어치 정도를 다시 매각했다"
-올해 매입할 부실채권 규모는 어느정도로 잡고 있나.
"현재 확보된 재원 33조6천억원중 12조7천억원이 남았다.
이 돈으로 금년에도 약 27조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추가로 사들일 예정이다"
-사들인 부실채권을 어떻게 정리하느냐도 중요하다. 어떤 매각원칙이 있나.
"맞는 말이다.
오히려 금년부턴 부실채권 매입보다는 매각이 더 중요할지 모른다.
무엇보다 "신속하게 매각하되 가능한 한 비싼 값을 받는다"는 게 원칙이다.
빠른 시일 안에 비싸게 되팔아야 재정손실이 줄고 국민부담도 덜어지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은 성업공사가 부실채권을 해외 투자자들에게만 파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절대 그렇지 않다.
내국인에게도 똑같이 기회를 줄 것이다"
-올부터 성업공사가 부실기업의 경영에도 관여할 수 있게 됐는데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가.
"회생 가능한 기업에 대해선 출자를 하거나 자금을 제공해 공장을 경영하고
부동산을 개발하는 등의 워크아웃을 벌일 예정이다.
당장 헐값에 팔기 보다는 워크아웃을 추진해 가격을 충분히 올린 뒤
되팔겠다는 얘기다.
성업공사는 이를 위해 미국 유럽 등에서 공장 워크아웃과 부동산 개발 등의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영입했다.
올해도 상반기중에 외국의 전문회사와 합작형태로 자산관리전문회사를
만드는 것도 추진중이다"
-자산담보부증권(ABS)발행 등 부실채권 매각을 위한 새로운 방식들이 많이
개발됐는데 성업공사의 실적은.
"지난해말 두차례에 걸쳐 약 7천7백21억원 어치의 부실채권을 ABS발행을
통해 해외투자자들에게 매각했다.
ABS의 경우 모든 투자자가 일정 수익을 챙기고 난뒤 남은 이익은 다시
성업공사와 투자자가 일정 비율대로 나눠 갖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도 총 7차례에 걸쳐 약 12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할 계획이다.
매각방법은 국내외 시장상황이나 보유자산의 특성 등을 고려해 ABS 발행이나
지분참여방식 등 다양한 기법을 동원할 것이다.
요컨대 가장 효율적인 매각방법을 선택하겠다는 얘기다"
-성업공사가 ABS발행때 부실채권을 지나치게 싼 값에 넘겼다는 지적도 있다.
"그렇지 않다.
성업공사는 작년말 미국의 론 스타(Loan star)펀드에 5천6백46억원어치의
부실채권을 팔때 2천12억원을 받았다.
채권원금 대비 약 35.6%의 값을 받은 셈이다.
태국의 경우 이 비율이 약 25%정도에 그친다.
참고로 작년12월말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지는 태국의 부실채권 매각을
실패사례로 꼽은 반면 한국 성업공사의 매각은 성공적이었다고 보도했다"
-역할이 커지고 중요해진 만큼 조직이나 인력관리도 신경을 써야 할텐데.
"물론이다.
그렇지 않아도 성업공사는 작년 8월 미국 KPMG의 컨설팅을 받아 조직을
부실채권 정리업무에 맞도록 개편했다.
또 변호사 회계사 국제금융전문가 등 전문인력 66명을 확보하고 연말께
전직 금융기관 직원 7백60여명을 계약직으로 채용하기도 했다.
올 상반기중 3급이상 직원에겐 연봉제를 실시해 조직의 효율을 더욱 높일
생각이다"
-기존 직원과 계약직 간의 융화문제나 노사화합 등도 과제인데.
"노조간부나 직원들을 만날때 진실되게 대하면 풀지 못할 일이 없다고 본다.
합리적인 의견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등 사장부터 마음을 열겠다
특히 노사관계의 경우 "상대방이 많이 가지면 내가 그만큼 적게 갖는다"는
제로섬(zero-sum) 게임의 이해대립적 관계에서 벗어나 노사가 함께 승리하는
윈-윈(win-win) 게임에 의한 공동체적 관계로 바뀌어야 한다는게 소신이다"
실제로 정 신임사장은 취임 직전 장기 농성중이던 노조간부들을 만나
흉금을 터놓은 대화를 통해 업무복귀를 이끌어내는 등 특유의 친화력을 발휘
하기도 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1일자 ).
은 내국인 외국인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특히 회생 가능한 기업의 경우
워크아웃(work-out)을 통해 부실자산을 건전자산으로 탈바꿈 시킨뒤 제값을
받고 매각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
지난 5일 취임한 정재룡(53) 성업공사 신임사장은 "지난해엔 금융구조조정에
따라 성업공사가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데 주력했지만 앞으론 이 채권들을 잘
다듬어 비싼 값에 파는 게 관건"이라고 밝혔다.
정사장은 "그래야 수십조원이 투입된 재정자금을 온전히 회수해 국민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재정경제부 차관보까지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인 정사장은 그러나 "담보로
잡힌 땅이나 건물을 매각할땐 국내 부동산 경기동향 등을 면밀히 따져 매각
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며 "성업공사의 부동산 공매가 시장에 부담을 주진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업과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이 한창 진행되면서 성업공사의 역할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졌다. 주요 업무를 간략히 설명한다면.
"성업공사의 가장 큰 업무는 부실채권을 매입해 정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론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사들인 다음 담보 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자산담보부증권(ABS) 등을 발행해 채권을 되파는 것이다.
지난해 금융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성업공사의 업무가 크게 늘었다.
성업공사는 작년중 은행 종금사 등 77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44조원어치를
19조9천억원에 사들였다.
이중 현재까지 1조4천억원 어치 정도를 다시 매각했다"
-올해 매입할 부실채권 규모는 어느정도로 잡고 있나.
"현재 확보된 재원 33조6천억원중 12조7천억원이 남았다.
이 돈으로 금년에도 약 27조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추가로 사들일 예정이다"
-사들인 부실채권을 어떻게 정리하느냐도 중요하다. 어떤 매각원칙이 있나.
"맞는 말이다.
오히려 금년부턴 부실채권 매입보다는 매각이 더 중요할지 모른다.
무엇보다 "신속하게 매각하되 가능한 한 비싼 값을 받는다"는 게 원칙이다.
빠른 시일 안에 비싸게 되팔아야 재정손실이 줄고 국민부담도 덜어지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은 성업공사가 부실채권을 해외 투자자들에게만 파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절대 그렇지 않다.
내국인에게도 똑같이 기회를 줄 것이다"
-올부터 성업공사가 부실기업의 경영에도 관여할 수 있게 됐는데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가.
"회생 가능한 기업에 대해선 출자를 하거나 자금을 제공해 공장을 경영하고
부동산을 개발하는 등의 워크아웃을 벌일 예정이다.
당장 헐값에 팔기 보다는 워크아웃을 추진해 가격을 충분히 올린 뒤
되팔겠다는 얘기다.
성업공사는 이를 위해 미국 유럽 등에서 공장 워크아웃과 부동산 개발 등의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영입했다.
올해도 상반기중에 외국의 전문회사와 합작형태로 자산관리전문회사를
만드는 것도 추진중이다"
-자산담보부증권(ABS)발행 등 부실채권 매각을 위한 새로운 방식들이 많이
개발됐는데 성업공사의 실적은.
"지난해말 두차례에 걸쳐 약 7천7백21억원 어치의 부실채권을 ABS발행을
통해 해외투자자들에게 매각했다.
ABS의 경우 모든 투자자가 일정 수익을 챙기고 난뒤 남은 이익은 다시
성업공사와 투자자가 일정 비율대로 나눠 갖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도 총 7차례에 걸쳐 약 12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할 계획이다.
매각방법은 국내외 시장상황이나 보유자산의 특성 등을 고려해 ABS 발행이나
지분참여방식 등 다양한 기법을 동원할 것이다.
요컨대 가장 효율적인 매각방법을 선택하겠다는 얘기다"
-성업공사가 ABS발행때 부실채권을 지나치게 싼 값에 넘겼다는 지적도 있다.
"그렇지 않다.
성업공사는 작년말 미국의 론 스타(Loan star)펀드에 5천6백46억원어치의
부실채권을 팔때 2천12억원을 받았다.
채권원금 대비 약 35.6%의 값을 받은 셈이다.
태국의 경우 이 비율이 약 25%정도에 그친다.
참고로 작년12월말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지는 태국의 부실채권 매각을
실패사례로 꼽은 반면 한국 성업공사의 매각은 성공적이었다고 보도했다"
-역할이 커지고 중요해진 만큼 조직이나 인력관리도 신경을 써야 할텐데.
"물론이다.
그렇지 않아도 성업공사는 작년 8월 미국 KPMG의 컨설팅을 받아 조직을
부실채권 정리업무에 맞도록 개편했다.
또 변호사 회계사 국제금융전문가 등 전문인력 66명을 확보하고 연말께
전직 금융기관 직원 7백60여명을 계약직으로 채용하기도 했다.
올 상반기중 3급이상 직원에겐 연봉제를 실시해 조직의 효율을 더욱 높일
생각이다"
-기존 직원과 계약직 간의 융화문제나 노사화합 등도 과제인데.
"노조간부나 직원들을 만날때 진실되게 대하면 풀지 못할 일이 없다고 본다.
합리적인 의견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등 사장부터 마음을 열겠다
특히 노사관계의 경우 "상대방이 많이 가지면 내가 그만큼 적게 갖는다"는
제로섬(zero-sum) 게임의 이해대립적 관계에서 벗어나 노사가 함께 승리하는
윈-윈(win-win) 게임에 의한 공동체적 관계로 바뀌어야 한다는게 소신이다"
실제로 정 신임사장은 취임 직전 장기 농성중이던 노조간부들을 만나
흉금을 터놓은 대화를 통해 업무복귀를 이끌어내는 등 특유의 친화력을 발휘
하기도 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