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3돌을 맞은 케이블TV.

"꿈의 다채널"이란 이름으로 화려하게 출발했던 케이블TV는 3년이 지난
지금 대수술없인 생존자체가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IMF 경제위기와 방송시장개방등 환경변화도 케이블업계의 앞날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다.

97년까지 29개 프로그램 공급업체(PP)와 53개 케이블방송국(SO)이 기록한
누적적자는 무려 8천49억원.

재정압박에 시달리는 PP들은 제작비나 프로그램 구입비를 줄일 수밖에 없다.

이에따른 프로그램 질저하는 "볼게 없다"라는 시청자들의 불만과 함께
가입자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에 불어닥친 IMF한파는 치명적이다.

환차손과 금융비용증가, 광고수입급감에 따라 몇몇 업체는 파산이 우려되고
있다.

아예 제작을 포기한 PP가 있는가하면 2차 SO들의 개국도 기약없이
늦어지고 있다.

회사매각도 여의치 않다.

마이TV를 매입키로 했던 선경측은 가계약을 취소하고 인수팀을 철수시켰다.

팔려고 내놓은 GTV 다솜방송 동아TV도 사겠다는 기업이 없다.

케이블업계에선 사업틀을 새로 짜는 구조조정없인 살아남기 힘들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위성방송이 본격 시작되면 "뿌리도 내리기전에 말라 죽을 것"이란
우려의 소리가 높다.

정의영 케이블TV방송협회 대외협력국장은 "PP의 프로그램 판로확대라는
일부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유사한 다채널 전문방송이란 점에서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위성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SCN(Satelite Cable Network)방식이
도입되더라도 SO보다 중계유선이 혜택을 볼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아직까지 새정부의 뚜렷한 방송정책이 제시되진 않았지만 과거에 비해
정부의 보호와 간섭이 줄고 시장원리가 적극 도입될 것은 분명하다.

새 방송법에 MSO(SO간 중복소유)가 허용되면 PP뿐 아니라 SO간에도 M&A
(기업인수합병)가 활발히 일어날 전망이다.

3분할 사업자간 진입장벽도 허물어질 가능성이 크다.

케이블협회는 지난달 새정부측에 <>PP SO NO 3분할 사업자간 겸영및
지분소유 허용 <>중계유선방송과의 통합운영 <>케이블TV의 초고속정보통신망
사업자지정및 SO사업구역확대 <>SO에 채널선택권 부여 <>외국인 출자비율
30%로 확대 등 개선방안을 건의했다.

또 최근 학계와 관련단체를 중심으로 PP등록.신고제 도입, SO자가망사업
허가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18일엔 종합유선방송위원회가 케이블TV 유관기관과 업계공동으로
방송구조개편과 시장개방에 대응하기 위한 "케이블TV 대책위원회"를
만들었다.

27일 케이블협회 이사회에선 비슷한 취지로 "구조조정 대책위"를 구성했다.

케이블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책위 구성도 중요하지만 정책에 반영될수 있는
실질적인 의견수렴이 절실한 때"라고 지적했다.

< 박성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