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 이사람] '국제 복합운송시스템' 펴낸 전일수 <부원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운송비를 줄여야 경쟁력이 살아납니다.
복합운송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수출증대와 함께 IMF난국 타개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제 복합운송시스템"(21세기한국연구재단)을 펴낸 전일수(48) 교통개발
연구원 부원장은 "비싼 운송장비나 시설투자 없이 능력있는 요원만 있으면
얼마든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복합운송시스템이야말로 지금 꼭
필요한 지식집약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복합운송이란 단일 운송인이 자기이름과 책임아래 운송증권을 발행하고
단일요율을 정해 화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운송하는 것.
화주 입장에서는 운송수단별로 흩어져 있는 여러 업자와 일일이 계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화물손상이나 인도지연 등 문제발생시에도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GDP(국내총생산)의 16%에 달하는 물류비용중 60%이상이 운송비입니다.
국제교역 비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복합운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죠"
우리나라 복합운송 주선업체는 6백여개.
그러나 설립자본금 3억원 정도의 영세한 업체가 많고 복합운송시스템에
대한 법규도 허술한 편이어서 체질개선이 시급한 형편이다.
"96년 시장개방 이후 국제사회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습니다.
외국자본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면 영세한 국내업자들은 설 땅을 잃게 될
거예요.
다각화전략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합니다"
그는 경영다각화와 관련, 복합운송주선인의 업무영역에 통관업무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업자들은 운송업의 범위에 운송주선업이 제외돼 있는데다 통관법인의
허가대상에도 들지 못해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것.
결론적으로 복합운송주선업을 운송부대사업이나 운송관련업의 하나로
간주해 등한시할 것이 아니라 전체운송기간을 줄이고 물류효율화를 앞당기는
국제복합운송업으로 인식, 제도적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도 단순한 화물운송 차원을 넘어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합물류전문업체로 거듭나야 합니다.
자격기준 강화와 재정안정, 통관업무 직접 수행 등 시급한 과제가 산적해
있어요"
그는 정부도 시장개방에 대비한 규제개혁과 복합운송업체의 대형.다각화,
전문인력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 정책적인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고 역설
했다.
그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은행 조사부를 거쳐 해운산업연구원
항만연구실장과 동향분석실장을 지냈으며 8년전부터 인하대 교통대학원
겸임교수로 주1회 출강하고 있다.
< 고두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9일자).
복합운송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수출증대와 함께 IMF난국 타개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제 복합운송시스템"(21세기한국연구재단)을 펴낸 전일수(48) 교통개발
연구원 부원장은 "비싼 운송장비나 시설투자 없이 능력있는 요원만 있으면
얼마든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복합운송시스템이야말로 지금 꼭
필요한 지식집약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복합운송이란 단일 운송인이 자기이름과 책임아래 운송증권을 발행하고
단일요율을 정해 화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운송하는 것.
화주 입장에서는 운송수단별로 흩어져 있는 여러 업자와 일일이 계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화물손상이나 인도지연 등 문제발생시에도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GDP(국내총생산)의 16%에 달하는 물류비용중 60%이상이 운송비입니다.
국제교역 비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복합운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죠"
우리나라 복합운송 주선업체는 6백여개.
그러나 설립자본금 3억원 정도의 영세한 업체가 많고 복합운송시스템에
대한 법규도 허술한 편이어서 체질개선이 시급한 형편이다.
"96년 시장개방 이후 국제사회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습니다.
외국자본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면 영세한 국내업자들은 설 땅을 잃게 될
거예요.
다각화전략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합니다"
그는 경영다각화와 관련, 복합운송주선인의 업무영역에 통관업무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업자들은 운송업의 범위에 운송주선업이 제외돼 있는데다 통관법인의
허가대상에도 들지 못해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것.
결론적으로 복합운송주선업을 운송부대사업이나 운송관련업의 하나로
간주해 등한시할 것이 아니라 전체운송기간을 줄이고 물류효율화를 앞당기는
국제복합운송업으로 인식, 제도적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도 단순한 화물운송 차원을 넘어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합물류전문업체로 거듭나야 합니다.
자격기준 강화와 재정안정, 통관업무 직접 수행 등 시급한 과제가 산적해
있어요"
그는 정부도 시장개방에 대비한 규제개혁과 복합운송업체의 대형.다각화,
전문인력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 정책적인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고 역설
했다.
그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은행 조사부를 거쳐 해운산업연구원
항만연구실장과 동향분석실장을 지냈으며 8년전부터 인하대 교통대학원
겸임교수로 주1회 출강하고 있다.
< 고두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