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타나고 있는 아시아경제의 위기상황을 어떻게 볼 것인가.

태국의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난 여름이후 국제경제학자들의 관심사항중
하나다.

낙관과 비관이 함께 대두되고 있지만 대체로 낙관적인 견해가 많은
편이다.

비관론의 대표적인 학자는 아시아 성장한계론을 주장한 미국의 폴
크루그만 MIT대 교수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기술개발과 인적자원투자없이 자본과 노동등 생산요소만을 쏟아부어
이룩한 아시아 경제는 지속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사실 그가 이같은 주장을 한 것이 지난 94년이었고 그동안 아시아 각국은
저성장을 면치못했으며 급기야 금융위기를 맞고있는 상황이어서 예측이
어느정도 들어맞았다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국제경제학자나 IMF등 국제기구들은 낙관론에 비중을
더 두고 있다.

아시아경제통인 제프리 삭스 하버드대교수, 돈 부시 MIT대 교수등은
성장률은 다소 떨어지겠지만 경제활력을 되찾아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 근거로는 대부분 높은 저축률과 교육열, 그리고 기술및 투자유치 적극화
등을 들고 있다.

특히 삭스 교수는 지난 29일 워싱턴의 한 학술토론회에서 최근 동남아의
금융위기가 닥친 것은 미국과 국제금융기구들이 이들의 개방을 지나치게
밀어붙인 결과라고 지적해 관심을 끌었다.

개방폭이 넓혀진 시장에 민간자본의 유입과 이탈이 과다한 때문이지
정책의 잘못에서 빚어진 것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그같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9일 미 의회청문회에서
밝힌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의 발언은 우리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린스펀 의장은 이날 아시아경제가 일시 후퇴나 정체를 맞을수는 있으나
앞으로 상당기간 평균이상의 성장을 계속할 것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해 낙관론을 지지했다.

물론 이러한 낙관론의 대상에 한국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낙관론자들이라고 해서 모든게 저절로 잘 돼갈 것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지속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금융시스템의 안정성확보와 노동시장의
유연성확보등 경제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게 이들의 공통된 지적사항
이었음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한치앞이 내다 보이지 않는 현재의 혼란상황에서 낙관론을
믿어야할지 매우 의문스럽기는 하지만 그러나 지나친 비관론도 결코
바람직스럽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자칫 눈앞의 현상에 집착하다보면 큰 흐름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냉철한 판단과 차분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물론 지금의 우리경제는 금융공황에 비견될 만큼 위기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응급처방도 불가피하다.

다만 대다수 경제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조만간 극복될수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그러한 응급처방 역시 장기효과까지를 감안해야 하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뤄져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