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이 22일 복수 최고위원제 도입을 골자로 한 집단지도체제 개편
방안을 마련한 것은 이회창 대표의 지지율 하락에 따른 수세 국면을 반전
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볼수 있다.

당의 결속을 강화하고 흐트러진 전열을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가용인력"의
총동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집단지도체제 도입엔 무엇보다 "이인제 변수"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대표는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서 지도체제를 개편할 경우의 부담을 감안해
현 체제로 대선을 치를 방침이었으나 이전지사의 탈당으로 상황이 급변,
거물급 인사들의 동조탈당을 막는 방안으로 이 카드를 선택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여권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움직임은 이인제 고사작전의 일환으로
봐도 무방하다"는 여권핵심부 관계자의 지적은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대목
이다.

이 관계자는 집단제도체제 도입에 대해 "당내 영향력과 지분이 있는 인사
들을 모두 "이사회"에 편입시킴으로써 동요나 이탈조짐을 봉쇄하려는 조치"
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최고위원제를 도입할 경우 신한국당 지도체제는 "이회창 총재"를 정점으로
대표최고위원 최고위원 당 3역으로 구성돼 3당 통합직후의 민자당과 같은
틀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대표최고위원 자리를 놓고 이한동 김윤환 고문진영간 신경전이
펼쳐지고 있는데다 최고위원으로 거명되고 있는 박찬종 이수성 고문 서석재
의원 등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불투명해 또다른 불씨를 안고 있는 셈이다.

특히 독자출마와 이대표 또는 이전지사를 도울지를 저울질하고 있는 박찬종
고문은 이날 오후 이전지사와 전격 회동, 공조문제 등을 논의해 귀추가 주목
된다.

한편 범여권 결속차원에서 추진중인 무소속 박태준 의원의 영입이 성사될
경우 최고위원이나 선거대책위원회 의장 등 요직을 주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김삼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