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소득 9.8배 증가..지난 30년 도시근로자 가계수지 동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66년이후 30년간 우리나라 도시근로자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백83배로,
월평균 소비지출은 1백27배로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물가상승을 감안해 지난 95년 화폐가치로 따져보면 실질소득 및
실질소비지출 증가규모는 각각 9.8배, 6.8배로 나타났다.
또 지난 66년 소비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식비 지출이 30년후인
96년에는 28.5%로 줄어든 가운데 보리쌀의 경우는 소비지출 비중이 0.0%로
나타날 정도로 식탁에서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통통신비, 외식비, 교육비, 교양오락비 지출은 매년 큰폭의 증가세
를 보이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66년부터 96년까지 30년간의 도시근로자가구
가계수지의 변화 모습을 분야별로 살펴본다.
<> 소득 =지난 66년 1만1천8백원에 불과했던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76년 8만8천3백원, 86년 47만3천6백원, 96년 2백15만2천7백원
으로 늘어났다.
매년 평균 19.0%씩 증가해 30년만에 1백83.2배로 불어난 셈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 명목소득상의 수치로 지난 95년 기준 실질금액으로
환산한 실질소득은 66년 20만9천8백원, 96년 2백5만2천1백원으로 연평균
7.9%씩, 9.8배로 늘어났다.
이를 10년 주기로 보면 명목소득은 66~76년의 연평균 증가율이 22.3%로
가장 높았으나 실질소득은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86~96년의
증가율(9.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소비 =도시근로자가구의 월 평균 소비지출은 지난 66년 1만1천원에서
96년 1백39만5천4백원으로 증가, 1백27.4배로 늘어났다.
95년 기준 실질금액으로 환산한 96년의 실질소비지출은 1백33만2백원으로
66년의 19만5천6백원에 비해 6.8배로 증가했다.
또 비소비지출은 66년 가구소득의 3.7%에 해당하는 4백원에 불과했으나
96년에는 가구소득의 9.6%인 20만7천5백원으로 매년 22.8%씩 늘었다.
이처럼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66년 96.8%에
달했던 평균소비성향은 96년 71.7%로 낮아졌다.
반대로 흑자율은 66년 3.2%에서 96년 28.3%로 높아졌다.
<> 직종별.학력별 소득 =지난 66년 봉급자 가구와 노무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만5천6백원, 9천원으로 두 직종간 소득 격차는 1.74배에
달했다.
이같은 소득 격차는 76년 1.73배, 86년 1.70배로 80년대 중반까지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96년(봉급자 가구 2백55만6천5백원, 노무자 가구
1백84만3천3백원)에는 1.39배로 축소됐다.
또 학력별 가구소득 격차도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96년
무학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1백29만3천4백원으로 전체 평균소득의 60.1%에
그친 반면 대학원졸 학력자 가구는 3백37만2백원으로 평균치의 1백56.6%에
달했다.
또 초등학교 졸업 가구(1백75만1천7백원), 중졸 가구(1백85만4천9백원),
고졸 가구(2백2만5천9백원)도 평균소득에 미달했다.
<> 소비지출 구조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계수는 66년 57.3%, 76년 47.6%, 86년 36.4%, 96년
28.5%로 감소했다.
특히 곡류의 경우 소비지출 비중이 66년 32.0%에서 96년 3.7%로 크게
낮아졌으며 전체 식료품비에서 곡류가 차지하는 비중도 66년 56%에서 96년
13%로 하락했다.
쌀의 경우 소비지출 비중이 66년 22.8%에서 96년 2.7%로, 보리쌀은 66년
3.2%에서 96년 0.0%로 나타나 거의 소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 소비지출비중은 66년 3.1%에서 86년 4.4%로 증가했으나 96년에는
2.9%로 다시 줄어들었다.
쇠고기의 경우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전체 소비지출규모가 늘어나면서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년 2.0%에서 96년 1.0%로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돼지고기는 66년 0.8%에서 86년 1.3%까지 늘어나다 96년 0.6%로
다시 줄었다.
식료품비의 지출비중이 줄어든 것과는 달리 교통통신비, 외식비, 교육비
등의 소비지출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교통통신비는 지난 66년 3.1%에서 96년 12.6%로 늘었으며 특히 개인교통비
의 소비지출 비중은 자가용 승용차 보유가구가 크게 늘면서 76년 0.1%에서
96년 7.5%로 높아졌다.
또 외식비의 지출비중도 66년 0.8%에서 96년 10%로 큰 폭 증가했으며
교육비는 5.8%에서 9.8%로, 교양오락비는 66년 1.6%에서 96년 5.2%로
각각 늘어났다.
담배의 소비지출비중은 66년 3.7%에서 96년 0.8%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광열수도비 또한 66년 7.7%에서 96년 4.1%로 감소했고 연탄의 소비지출
비중은 66년 4.5%에서 96년 0.1%로 낮아졌다.
< 김성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4일자).
월평균 소비지출은 1백27배로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물가상승을 감안해 지난 95년 화폐가치로 따져보면 실질소득 및
실질소비지출 증가규모는 각각 9.8배, 6.8배로 나타났다.
또 지난 66년 소비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식비 지출이 30년후인
96년에는 28.5%로 줄어든 가운데 보리쌀의 경우는 소비지출 비중이 0.0%로
나타날 정도로 식탁에서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통통신비, 외식비, 교육비, 교양오락비 지출은 매년 큰폭의 증가세
를 보이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66년부터 96년까지 30년간의 도시근로자가구
가계수지의 변화 모습을 분야별로 살펴본다.
<> 소득 =지난 66년 1만1천8백원에 불과했던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76년 8만8천3백원, 86년 47만3천6백원, 96년 2백15만2천7백원
으로 늘어났다.
매년 평균 19.0%씩 증가해 30년만에 1백83.2배로 불어난 셈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 명목소득상의 수치로 지난 95년 기준 실질금액으로
환산한 실질소득은 66년 20만9천8백원, 96년 2백5만2천1백원으로 연평균
7.9%씩, 9.8배로 늘어났다.
이를 10년 주기로 보면 명목소득은 66~76년의 연평균 증가율이 22.3%로
가장 높았으나 실질소득은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86~96년의
증가율(9.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소비 =도시근로자가구의 월 평균 소비지출은 지난 66년 1만1천원에서
96년 1백39만5천4백원으로 증가, 1백27.4배로 늘어났다.
95년 기준 실질금액으로 환산한 96년의 실질소비지출은 1백33만2백원으로
66년의 19만5천6백원에 비해 6.8배로 증가했다.
또 비소비지출은 66년 가구소득의 3.7%에 해당하는 4백원에 불과했으나
96년에는 가구소득의 9.6%인 20만7천5백원으로 매년 22.8%씩 늘었다.
이처럼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66년 96.8%에
달했던 평균소비성향은 96년 71.7%로 낮아졌다.
반대로 흑자율은 66년 3.2%에서 96년 28.3%로 높아졌다.
<> 직종별.학력별 소득 =지난 66년 봉급자 가구와 노무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만5천6백원, 9천원으로 두 직종간 소득 격차는 1.74배에
달했다.
이같은 소득 격차는 76년 1.73배, 86년 1.70배로 80년대 중반까지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96년(봉급자 가구 2백55만6천5백원, 노무자 가구
1백84만3천3백원)에는 1.39배로 축소됐다.
또 학력별 가구소득 격차도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96년
무학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1백29만3천4백원으로 전체 평균소득의 60.1%에
그친 반면 대학원졸 학력자 가구는 3백37만2백원으로 평균치의 1백56.6%에
달했다.
또 초등학교 졸업 가구(1백75만1천7백원), 중졸 가구(1백85만4천9백원),
고졸 가구(2백2만5천9백원)도 평균소득에 미달했다.
<> 소비지출 구조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계수는 66년 57.3%, 76년 47.6%, 86년 36.4%, 96년
28.5%로 감소했다.
특히 곡류의 경우 소비지출 비중이 66년 32.0%에서 96년 3.7%로 크게
낮아졌으며 전체 식료품비에서 곡류가 차지하는 비중도 66년 56%에서 96년
13%로 하락했다.
쌀의 경우 소비지출 비중이 66년 22.8%에서 96년 2.7%로, 보리쌀은 66년
3.2%에서 96년 0.0%로 나타나 거의 소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 소비지출비중은 66년 3.1%에서 86년 4.4%로 증가했으나 96년에는
2.9%로 다시 줄어들었다.
쇠고기의 경우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전체 소비지출규모가 늘어나면서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년 2.0%에서 96년 1.0%로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돼지고기는 66년 0.8%에서 86년 1.3%까지 늘어나다 96년 0.6%로
다시 줄었다.
식료품비의 지출비중이 줄어든 것과는 달리 교통통신비, 외식비, 교육비
등의 소비지출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교통통신비는 지난 66년 3.1%에서 96년 12.6%로 늘었으며 특히 개인교통비
의 소비지출 비중은 자가용 승용차 보유가구가 크게 늘면서 76년 0.1%에서
96년 7.5%로 높아졌다.
또 외식비의 지출비중도 66년 0.8%에서 96년 10%로 큰 폭 증가했으며
교육비는 5.8%에서 9.8%로, 교양오락비는 66년 1.6%에서 96년 5.2%로
각각 늘어났다.
담배의 소비지출비중은 66년 3.7%에서 96년 0.8%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광열수도비 또한 66년 7.7%에서 96년 4.1%로 감소했고 연탄의 소비지출
비중은 66년 4.5%에서 96년 0.1%로 낮아졌다.
< 김성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