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4년말 페소화 폭락으로 심각한 경제위기에 처했던 멕시코.

당시엔 아무도 멕시코의 부활을 예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건강한 경제"를 자랑하고 있다.

이달초 총선에서 집권여당이 패했지만 주가는 8일 연속 뛰어오르며 매일
최고치를 갈아버렸다.

최근의 개도국 통화위기에도 잘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다.

최근 태국 바트화 폭락에서 시작된 동남아시아 통화위기는 4년전 멕시코
위기와 닮은 꼴이다.

경상수지적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외국투자자들이 떠날까봐 정부에서 환율을
인위적으로 부추켜 자국화폐가 고평가되었고 결국 이런 "불균형"이 문제가
됐다는 점에서다.

때문에 멕시코의 경험은 동남아 위기의 해법이 될수도 있다.

아직 위기가 불거져나오지 않는 다른 개도국들에도 분명한 예방책이 될
것이다.

멕시코의 회생비결은 무엇일까.

핵심은 단기적인 경기부양보다는 장기적으로 경제의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안정정책"을 일관성있게 수행했다는 것.

출발점은 강력한 긴축정책이다.

95년 3월부터 실시한 "긴급경제안정화대책"은 재정 금융분야의 초긴축을
골자로 한다.

세출감소와 세입확대로 재정의 건전화를 꾀하고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
증가율을 제한했다.

임금상승률을 물가상승률이내로 억제했음은 물론이다.

문제가 된 환율은 점진적인 절하정책을 썼다.

인위적인 환율지지가 통화폭락을 가져왔다는 점을 반성,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을 최대한 자제해 점진적인 가치하락과 실세화를 유도했다.

IMF(국제통화기금)등 국제금융기구와 미국등으로부터 긴급자금지원을 받고
FRB(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 캐나다중앙은행 등과의 단기 스와프거래등을
통해 외환보유고를 늘려 빠른 시일내에 대외신인도를 높인 것도 위기진정에
한몫했다.

경상적자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대외개방은 물론 국영기업민영화
와 한계기업정리 및 기업대형화유도등 산업조정정책을 꾸준히 추진했다.

산업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수출증대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였다.

이런 노력으로 94년 2백97억달러에 달했던 경상적자는 95년 16억달러로
급감했다.

95년 마이너스성장율(<>6.2%)을 보였던 GDP(국내총생산)도 지난해에는
5.1% 상승, 안정궤도에 들어섰다.

물론 아직 멕시코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요인은 많다.

대표적인게 정치권과 연계된 부패사슬.

전임 살리나스대통령의 부패를 목격한 세디오대통령이 과감한 개혁을
추진해 왔지만 뿌리깊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차단하지 못했다.

"밀실"에서 결정되는 정책으로는 경제의 추가도약도 힘들었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여당이 패배함에 따라 이런 장애물까지도 사라진
것으로 평가된다.

"선거결과는 멕시코의 정치가 이제 경제를 따라잡기 시작한 것"이라는 분석
(왈터 몰라노 SBC와버그경제연구소장)이다.

로버트 버지스 메릴린치 라틴아메리카담당임원은 "최근의 주가급등은
멕시코경제의 미래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 주된 투자처를 브라질에서
멕시코로 옮길 것"이라고 말한다.

멕시코의 경제위기와 부활-.

동남아시아는 물론 한국등 선진경제로 이행중인 나라들에게도 중요한
참고사항이 될 것이다.

<육동인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