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0일부터 공개매수 전까지 주가 30% 올라
'공개매수 첫날 대량 매수' hy "고배당주라 투자"
금융당국이 한국앤컴퍼니의 주식 공개매수 과정에서 선행매매가 있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6일 "한국앤컴퍼니 공개매수 전 거래량이 평소보다 많이 늘어났다"며 "어떤 계좌가 매수했는지, 문제가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일 MBK파트너스는 조양래 명예회장의 장남 조현식 한국앤컴퍼니 고문과 함께 오는 24일까지 한국앤컴퍼니 지분 20.35∼27.32%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하기로 하면서 한국타이어가(家)의 '형제의 난'이 2년여만에 재발했다.
공개매수 공시 이후 주가는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해 공개매수 목표가인 2만원을 넘어선 2만1천850원으로 마감했다.
이후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국앤컴퍼니 주가가 이미 지난달 20일 1만2천840원에서 공개매수 발표 전날인 4일 1만6천820원까지 30.1% 올랐다는 점을 들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선행매매가 이뤄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상승한 가격에 거래가 체결될 때마다 거래량이 같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공시가 있기 전 공개매수 가격 정보가 새어나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11월 23일 10만주를 밑돌던 한국앤컴퍼니 거래량은 27∼29일 20만주 안팎, 30일 45만주, 이달 1일과 4일 50만주 이상으로 뛰었다.
같은 기간 한국앤컴퍼니의 주요 자회사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가는 4만3천450원에서 4만5천550원으로 4.8% 올라 큰 변동이 없었다.
일각에서는 한국앤컴퍼니의 기존 주주인 hy(옛 한국야쿠르트)가 조 회장 측 우호 지분으로서 공개매수 성공률을 낮추기 위해 지분을 매입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된다.
전날 KB
국내 2위 가상자산거래소 빗썸(대표 이재원·사진)이 100억원 규모의 공익재단을 출범하기로 했다. 창립 1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 이어온 사회공헌활동을 체계화하겠다는 취지다. 빗썸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로는 처음으로 기업공개(IPO)도 추진할 예정이다.
빗썸은 6일 창립 10주년을 맞아 1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출자해 ‘빗썸 나눔 공익재단’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빗썸 관계자는 “설립 이후 지금까지 장애인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취약계층 자립 지원금을 제공하는 등 꾸준히 나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며 “재단이 설립되면 더욱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사회공헌 체계화 목표”빗썸은 2013년 12월 엑스코인이라는 이름으로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2015년 7월 빗썸으로 이름을 바꿨다. 한때 비트코인 하루 거래량이 7100억원어치에 달하며 글로벌 1위 가상자산거래소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 가상자산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빗썸도 부침을 겪었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 1위 거래소인 업비트로의 시장 쏠림은 심화했다.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이 90%에 달하기도 했다. 빗썸은 승부수를 띄웠다. 지난 10월 거래를 지원하는 모든 가상자산의 거래 수수료를 전면 무료화했다. 과거 거래소가 일정 기간 수수료를 내린 적은 있지만 전면 무료를 내건 것은 빗썸이 처음이었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9%대에 그친 빗썸의 시장 점유율은 30%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15%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내부통제 강화할 것”빗썸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로는 최초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가상자산산업이 국내에서 태동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팽배한 불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