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관리 공중전화 설치 쉬워진다'..내년 자급제 실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중전화가 필요하면 곧바로 설치해드립니다"
내년 1월부터 관리공중전화에 대한 자급제가 실시되면서 공중전화 적체가
해소되고 공중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착신서비스 등 새로운 공중전화
서비스가 실시된다.
관리공중전화는 빌딩이나 음식점 영업소 등 옥내에 설치해 관리인을 지정,
운영하는 공중전화.
지금까지는 이 전화기를 한국통신이 사서 설치해주는 사급제로 운영되고
있으나 내년부터는 설치희망자가 전화기를 직접 구입하여 설치하는 자급제로
전환된다.
이렇게 되면 일반전화와 마찬가지로 신청과 동시에 설치할수 있다.
이미 설치된 관리공중전화는 전화기의 사용연한이 끝난 제품부터 단계적으로
자급제로 전환될 예정이다.
자급제 도입에 따른 가장 큰 변화는 적체 해소.
현재 관리공중전화는 19만9,000대(전체 공중전화의 59.8%)가 설치돼 있으나
대기수요가 1만3,000대에 이른다고 한국통신은 밝히고 있다.
올해 보급된 1만대보다 적체가 많은 것은 공중전화기와 회선부족 탓.
자급제가 도입되면 적체의 주요인인 전화기 부족이 해소돼 적체가 풀릴
것으로 보인다.
기능도 다양해질 전망이다.
외국처럼 공중전화로 다른 곳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을수 있는 착신서비스가
대표적이다.
한통은 내년부터 희망하는 설치자에게 이 기능을 부여해줄 계획이다.
지금도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수신자부담 국제전화를 사용하고 요금을
내지않는 등 부정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돼 무작정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통은 자급제 도입에 맞춰 관리공중전화 관리제도도 대폭 손질했다.
우선 관리공중전화 설치업주에게 주던 위탁수수료를 없애기로 했다.
설치자가 필요해 가설한 공중전화에 대해 전화기를 무료로 주고 게다가
위탁수수료(월 7,000원과 통화료의 2%)까지 얹어주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설치보증금은 기존의 절반수준으로 낮췄다.
광역시 이상의 지역에서는 20만원에서 10만원, 시단위 이하는 6만~10만원
에서 5만원으로 내리기로 했다.
유통및 유지보수체계도 새로 정비했다.
단말기는 공중전화관리를 전담하는 한국공중전화(주)가 공급하게 된다.
이 회사는 자체 유통망을 갖춰 중소기업제품만을 구매, 판매한다.
물론 제조업체가 일반 유통망을 통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보수는 한국공중전화가 관리자와 계약에 의해 담당하며 1년간의 애프터
서비스 기간중에는 무료다.
한편 업계에서는 내년중 약5만대(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관리
공중전화 시장을 겨냥, 신제품 개발 등을 서두르고 있다.
반석산업은 이미 착신기능을 갖춘 주화식 2가지 모델을 개발, 정부의 형식
승인을 받아 시판준비에 나섰으며 부산의용촌 이성공업 등도 제품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 정건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13일자).
내년 1월부터 관리공중전화에 대한 자급제가 실시되면서 공중전화 적체가
해소되고 공중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착신서비스 등 새로운 공중전화
서비스가 실시된다.
관리공중전화는 빌딩이나 음식점 영업소 등 옥내에 설치해 관리인을 지정,
운영하는 공중전화.
지금까지는 이 전화기를 한국통신이 사서 설치해주는 사급제로 운영되고
있으나 내년부터는 설치희망자가 전화기를 직접 구입하여 설치하는 자급제로
전환된다.
이렇게 되면 일반전화와 마찬가지로 신청과 동시에 설치할수 있다.
이미 설치된 관리공중전화는 전화기의 사용연한이 끝난 제품부터 단계적으로
자급제로 전환될 예정이다.
자급제 도입에 따른 가장 큰 변화는 적체 해소.
현재 관리공중전화는 19만9,000대(전체 공중전화의 59.8%)가 설치돼 있으나
대기수요가 1만3,000대에 이른다고 한국통신은 밝히고 있다.
올해 보급된 1만대보다 적체가 많은 것은 공중전화기와 회선부족 탓.
자급제가 도입되면 적체의 주요인인 전화기 부족이 해소돼 적체가 풀릴
것으로 보인다.
기능도 다양해질 전망이다.
외국처럼 공중전화로 다른 곳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을수 있는 착신서비스가
대표적이다.
한통은 내년부터 희망하는 설치자에게 이 기능을 부여해줄 계획이다.
지금도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수신자부담 국제전화를 사용하고 요금을
내지않는 등 부정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돼 무작정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통은 자급제 도입에 맞춰 관리공중전화 관리제도도 대폭 손질했다.
우선 관리공중전화 설치업주에게 주던 위탁수수료를 없애기로 했다.
설치자가 필요해 가설한 공중전화에 대해 전화기를 무료로 주고 게다가
위탁수수료(월 7,000원과 통화료의 2%)까지 얹어주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설치보증금은 기존의 절반수준으로 낮췄다.
광역시 이상의 지역에서는 20만원에서 10만원, 시단위 이하는 6만~10만원
에서 5만원으로 내리기로 했다.
유통및 유지보수체계도 새로 정비했다.
단말기는 공중전화관리를 전담하는 한국공중전화(주)가 공급하게 된다.
이 회사는 자체 유통망을 갖춰 중소기업제품만을 구매, 판매한다.
물론 제조업체가 일반 유통망을 통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보수는 한국공중전화가 관리자와 계약에 의해 담당하며 1년간의 애프터
서비스 기간중에는 무료다.
한편 업계에서는 내년중 약5만대(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관리
공중전화 시장을 겨냥, 신제품 개발 등을 서두르고 있다.
반석산업은 이미 착신기능을 갖춘 주화식 2가지 모델을 개발, 정부의 형식
승인을 받아 시판준비에 나섰으며 부산의용촌 이성공업 등도 제품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 정건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13일자).